목차
Part. 1
처음부터 끝까지 이 마음 이대로
합격과 불합격을 좌우하는 50%는 마음가짐이다.
주변의 잘못된 정보에 현혹되지 말자 ? 13
대충 할 생각으론 합격할 수 없다 ? 16
불리하다는 생각을 버리자 ? 19
성공경험의 힘을 믿어 보자 ? 23
합격 후 자신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리고, 실행하자 ? 28
아는 공부가 아니라 깨닫는 공부를 하자 ? 32
믿을 수 있는 친구와 함께하자 ? 36
함께 공부하는 사람은 경쟁자가 아니라 동행자라는 사실을 명심하자 ? 39
꾸준함만이 합격에 가까워지는 길이다 ? 42
마지막 두 달이 가장 중요하다 ? 45
주위의 걱정을 뒤로하고, 자신을 믿어 보자 ? 48
공부는 도서관에서만 하는 게 아니다 ? 50
몸을 쉬게 하고, 마음이 트이는 시간이 필요하다 ? 53
슬럼프, 현명한 방법으로 이겨내자 ? 56
남에게 예쁘게 보이고 싶은 생각을 잠시 접자 ? 58
끝까지 갈 수 있는 체력을 비축해야만 한다 ? 61
고통의 순간을 넘어서면 공부도 중독된다 ? 65
Part. 2
전공, 교육학 공부는 이렇게
합격과 불합격을 좌우하는 나머지 50%는 노력과 공부법이다.
1년을 조망하는 공부계획을 세워 보자 ? 70
기초가 튼튼해야 뭐든 제대로 지어진다 ? 76
합격생들이 공통적으로 선택한 단권화, 반드시 하자 ? 79
핵심내용 불변의 법칙, 기출문제를 분석하자 ? 82
시험 유형을 파악하고, 동일하게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 85
학원의 도움을 받되, 올인하면 실패한다 ? 87
쓰면서 하는 공부가 학습효과를 높인다 ? 90
제대로 된 정리 작업이 황금 같은 시간을 아낀다 ? 94
학원 강사는 전문가, 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자 ? 99
모의고사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제대로 파악하자 ? 101
새로워진 교육학 논술 준비, 학원 선택이 중요하다 ? 104
전공 교재도 시험에 유리한 것이 있다 ? 106
전공교육론의 비중도 생각보다 크다 ? 108
누구나 어려운 영역은 있다 ? 110
글씨 쓰는 연습 및 필기구 선택도 중요하다 ? 112
학습 능률을 올려 주는 55:5 공부법을 적용해 보자 ? 116
수업 시작 전 학습내용을 한 번은 보고 가자 ? 118
Part. 2
전공, 교육학 공부는 이렇게
합격과 불합격을 좌우하는 나머지 50%는 노력과 공부법이다.
간단한 학습 진단은 개념도를 추천한다 ? 120
잠들기 전은 황금시간, 그 시간을 활용하자 ? 122
이해한 뒤에는 반드시 암기가 필요하다 ? 125
마지막 한 달, 더 이상의 진도는 금물이다 ? 128
집안 곳곳을 활용한 학습을 하자 ? 130
시험 전날 해야 할 일이 있다 ? 132
답안은 군더더기가 없는 것이 최상이다 ? 134
시험장에서는 이미지 트레이닝이 중요하다 ? 136
Part. 3
한국사능력시험, 면접, 수업실연, 실기·실험을 위한
준비는 이렇게
한국사능력시험은 준비 초기에 패스하자 ? 140
2차 준비를 위한 합격자 특강에 반드시 참여하자 ? 142
자신의 교직관, 교육철학을 생각하고, 정리하자 ? 144
교육과 관련한 최근 동향을 파악하자 ? 146
웃는 얼굴이 주는 효과, 생각보다 놀랍다 ? 150
면접도 실전과 동일한 연습이 필요하다 ? 153
중·고등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자 ? 156
자신만의 지도안 및 수업실연 매뉴얼을 만들자 ? 158
수업실연 연습은 반드시 실제 상황과 비슷한 곳에서 하자 ? 165
실험시험 준비, 각 지역별 특성에 맞게 준비하자 ? 167
작은 수첩을 활용하자 ? 171
부록
경북 화학/김혜정 선생님 합격 수기 ? 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