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글) 채준병
인물 상세 정보대천고등학교 졸업
군산대학교 법학과 졸업
대해로신문 발행
(사)대천관광협회 사무국장
보령시도시계획ㆍ환경성검토위원
푸른충남21실천협의회 운영위원
충청남도 에너지절약 강사
현)환경부 환경교육홍보단
현)그린스타트 그린리더(고급)
현)보령시그린스타트네트워크 사무국장
현)푸른보령21추진협의회 사무국장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국보 제8호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와 90여 개 이상의 크고 작은 아름다운 섬을 가득히 품고 있는 보령은 그 자체로 보고(寶庫)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돌이켜 보면 그간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는 가운데 ‘소황사구’를 만나게 된 것은 저희에게는 ‘기쁨’ 그 자체라 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은 자연환경에 대한 부족한 식견을 한층 보완할 수 있는 기회였을 뿐 아니라 ‘생태 보령’을 새로운 시각으로 돌아볼 수 있는 동기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관리청인 금강유역환경청과 녹색기업(충남권 삼성사업장)의 적극적인 참여로 단순한 보전지역에서 “생태교육이 가능한 학습장”으로 만들어 가고 있는 ‘소황사구’는 보령의 유일한 살아 있는 생태학습장이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소황사구를 이제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그 축적된 자료의 일부를 소개하기 위한 기초 자료집을 발간하게 된 것을 커다란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보령은 직선거리 약 37km의 해안선이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으며, 소황사구는 남쪽으로 서천군과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곳에 위치한 연안습지 지역입니다.
소황사구가 오늘의 생태적 가치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사구 배후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군사보호구역(공군사격장)의 덕이라 하겠습니다.
지금도 날씨가 허락하는 경우 주말을 제외하고 매일 전투기의 사격 훈련이 계속되는 지역입니다. 전투기는 사구 배후지역 육상에 표적지를 두고 공중사격 훈련을, 그리고 사구 정면 해상에 위치한 무인도인 ‘황죽도’를 향해 훈련탄을 날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주변 여건에도 불구하고 소황사구는 자연의 모습이 그대로 살아 있는, 태곳적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천혜의 연안습지 지역입니다.
소황사구에서는 지난 2008년부터 유관기관과 함께 소황사구 보전관리협의회, 소황사구 보전활동을 위한 협약식, 소황사구 정화활동, 그리고 2011년에는 유관기관장을 모시고 “소황사구 생태학습장 제막식”을 갖기도 했습니다.
금번의 소책자는 수년간 소황사구 보전활동을 통해 축적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소황사구의 의미와 기능’ ‘사구의 현황’ ‘사구의 식생 및 생물상’ ‘보전활동’ ‘생태학습장의 비전’을 차례로 소개하는 첫 번째 발간물입니다.
보령 연안 예찬
발간하는 글
PART 1 소황사구의 의미·기능·형성 현황
PART 2 소황사구의 사구식물
PART 3 소황사구의 귀화식물
PART 4 소황사구(습지)의 일반식물
PART 5 소황사구의 생물상(기타)
PART 6 소황사구의 보전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