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글) 양영철
인물 상세 정보편저자 : 양 영 철
고려대 건축과
건축사, 건축시공기술사
한국전력, 현대건설, 현대산업
고려대 공과대학 교우회 회장
한국가훈자훈학회장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비단의 생산과 수출을 중국의 황실이 독점하였고 중국의 황제가 로마제국으로 가는 원정대를 보냈으나 페르시아만 상류까지 이른 중국의 장군은 로마까지 가려면 아직도 바다를 지나 한참동안 가야한다는 페르시아인들의 교활한 얘기를 듣고 단념하였다. 그래서 처음 몇 세기동안 두 강국은 서로를 알고 있었으나 군사적으로 혹은 외교적으로 충돌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기원전 1200년 이전부터 중국의 비단은 서양으로 수출되고 있었으며, BC242년경부터 진시황이 비단수출을 위하여 비단길원정군을 로마와 그리스, 페르시아에 파병하였고, 그 수출이익금으로 중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두언(頭言)
도표 (소설도표와 역사도표)
(1) 소설도표 : 도표1→도표9
(2) 역사도표 : 도표10→도표23
제1편 진시황의 비단길전쟁
제1장 비단(緋緞-silk)
제2장 진시황(秦始皇)
제3장 비단길(Silkroad)과 비단길전쟁(Silkroad Battle)
제4장 진제국 차이나(China)와 대진국 로마(Roma)
제5장 비단길의 봉쇄와 훈제국(暈帝國)
제6장 진시황의 비단길전쟁과 중국의 일대일로
제2편 비단길전쟁과 중국통일
제7장 비단길전쟁(BE242년-BE210년)과 원정군
제8장 1차비단길전쟁(一次緋緞道戰爭, BE242년)
제9장 2차비단길전쟁(二次緋緞道戰爭, BE236년)
제10장 한나라(BC230년)와 조나라(BC228년)의 멸망
제11장 3차비단길전쟁(三次緋緞道戰爭, BE227년)
제12장 연나라(BC226년)와 위나라(BC225년)의 멸망
제13장 4차비단길전쟁(四次緋緞道戰爭, BE224년)
제14장 초나라(BC223년)의 멸망
제15장 5차비단길전쟁(五次緋緞道戰爭, BE222년)
제16장 제나라(BC221년)의 멸망과 진시황의 중국통일
제17장 6차비단길전쟁(六次緋緞道戰爭, BE216년)
제18장 7차비단길전쟁(七次緋緞道戰爭, BE214년)
제19장 8차비단길전쟁(八次緋緞道戰爭, BE211년)
제20장 진시황(秦始皇)과 만세(萬世)의 중화(中華)
제3편 진제국(秦帝國)과 중화중국제국(中華中國帝國)
제21장 진시황의 비단길전쟁과 중국의 황금전략
제22장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의 동서통일
제23장 한반도통일(韓半島統一)과 황제국(皇帝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