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편하게 출판 문의 등록하기!📌

저자님들이 자주 묻는 질문을 확인해보세요
좋은땅
  • 로그인 아이콘
  • 로그인하고 도서 제작해 보세요!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 센터 아이콘

    고객 센터

  • 책 소개 아이콘

    책 소개

  • 화제의 책 아이콘

    화제의 책

  • 수상 도서 아이콘

    수상 도서

  • 저자 인터뷰 아이콘

    저자 인터뷰

  • 회사 소개 아이콘

    회사 소개

나의 도서 관리
  • 공지 사항
  • [공지] 2023년 종합소득신고용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안내 (2022년도 귀속분)
좋은땅 도서 이야기
  • 책 소개
  • 책 이야기
  • 요즘 트렌드
저자들의 생생한 이야기
  • 저자들의 이야기
  • 좋은땅 TV
좋은땅 가이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회사 소개
  • 고객센터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제휴문의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지월드빌딩 (서교동 395-7)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저자님,

5,327번째

도서 제작에 도전해보세요!

박울보 저자
누구나 뜻한 바 충분히 배려 받고, 쉽고 편하게 소통할 수 있는 곳

박울보 저자

조용찬 저자
귀한 작물은 좋은 땅에 심어야 잘 자랄 수 있듯이 귀한 글들도 좋은 땅 출판사에 맡겨진다면 좋은 책이 될 수 있는 출판사

조용찬 저자

압청대삼반 저자
책 내는 A부터 Z 까지 편리한 출판사

압청대삼반 저자

조남주 저자
출판의 첫걸음을 따뜻하게 이끌어주는 믿을 수 있는 동반자입니다.

조남주 저자

김용태	 저자
판 진행과정이 체계적이고 저자와 소통이 긴밀하였으며, 담당자들의 성실함이 엿보였습니다.

김용태 저자

류관순 저자
출간을 망설이는 저자에게 소망을 이루게 하는 마중물 한 바가지 역할을 해준다.

류관순 저자

도서 제작에 대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좋은땅 출판사의 출판 시스템이 궁금하다면?

좋은땅
좋은땅

로그인 정보를 잊으셨나요?

아직 좋은땅 계정이 없나요?

회원가입

책 소개

좋은땅

함께 "좋은 책"을 만들어 갑니다.

  • 공지사항
  • 고객센터
  • 로그인
  • 회원가입
  • 책 소개
  • 요즘 트렌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후기
  • 좋은땅 TV
  • 더보기
출판 상담하기
닫기 아이콘
  • 책 소개 
  • 이달의 신간
  • 베스트셀러
  • 스테디셀러
  • 분야별 도서
  • 수상 및 선정 도서
  • 책 이야기 
  • 화제의 책
  • 출간 전 연재
  • 북카드
  • 알쓸출판
  • 글 쓰기 교실
  • 요즘 트렌드 
  • 트렌드 인사이트
  • 온라인 서점 베스트
  • 매장 진열
  • 언론 소개
  • 저자들의 이야기 
  • 저자 인터뷰
  • 함께 한 저자
  • 출판 후기
  • 좋은땅 TV 
  • 책 소개 영상
  • 후기 인터뷰
  • 좋은땅 쇼츠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 과정
  • 서점 유통
  • 판매 인세
  • 마케팅 프로그램
  • 유통 대행
  • 회사 소개 
  • 좋은 문화
  • 연혁
  • 좋은땅 공간
  • 고객 센터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자료실
  • 이벤트
출판에 대한 고민들 | 좋은땅과 함께라면 안심하실 수 있습니다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센터 아이콘

    고객센터

책 소개 > 시/에세이 시인이 읽어주는 그림이야기

시인이 읽어주는 그림이야기한국 근대화를 바라보는 시인의 시선
  • 장병훈
  • 좋은땅
  • 2017년 11월 15일
공유하기
시/에세이

시인이 읽어주는 그림이야기

한국 근대화를 바라보는 시인의 시선

  • 장병훈
  • 좋은땅
  • 2017년 11월 15일

도서 기본 정보

  • 분야
  • 면수
  • 판형
  • 제본
  • ISBN
  • 전자책
  • 가격
  • 시/에세이
  • 224쪽
  • 128mm × 210mm
  • 무선
  • 9791162221068
  • 있음
  • 10,000원

도서 판매처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영풍문고
  • 인터파크 도서
이 책과 관련된 게시글
《시인이 읽어주는 그림 이야기》의 저자 장병훈과의 만남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시인·문학평론가·화가·아동문학가·동화작가·동요ㆍ가곡작사가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가 한국 근대 화가들의 작품을 시로 다뤄보자는 취지로 한국화가로는 심전 안중식부터, 서양화가로는 고희동부터 순차적으로 작품을 선정하여 작품에 대한 감상을 시로 표현하였다.

목차

| 머리말 |
나를 담는 길 04


Ⅰ. 여백의 고요를 보다
근대 한국화

임포처럼 살고 싶네 - 심전 안중식의 「매처학자 梅妻鶴子」 16
가을 바람소리 - 심전 안중식의 「성재수간 聲在樹間」 17
단풍잎이 꽃처럼 붉어라 - 심전 안중식의 「풍림정거 楓林停車」 18
무릉도원 - 심전 안중식의 「도원문진 桃源問津」 19
도화원으로 들다 - 심전 안중식의 「도원행주 桃源行舟」 20
일월경 - 심전 안중식의 「천보구여 天保九如」 21
고인高人들이 사는 삶 - 조석진의 「산수」 22
도연명이 속세에 산다면 - 조석진의 「고사산수 故事山水」 23
귀거래歸去來 - 조석진의 「귀래도 歸來圖」 24
무너져 내리는 슬픔 - 김규진의 「여산비폭 廬山飛瀑」 25
금강산 만물초 - 김규진의 「금강산 만물초 승경 金剛山 萬物肖 勝景」 26
해금강 총석정 - 김규진의 「해금강 총석정 절경 海金剛 叢石亭 絶景」 28
제왕의 풍모 - 김은호의 「순종 초상」 29
여심 - 김은호의 「애련미인 愛蓮美人」 30
잠든 시인 - 김은호의 「백대붕 白大鵬」 31
초겨울 산촌 - 이상범의 「초동 初冬」 32
늦가을 - 이상범의 「잔추 殘秋」 33
가을의 정감 - 이상범의 「추경산수」 34
한 소식 - 이상범의 「아침」 35
곡산 예찬 - 노수현의 「산수」 36
숨은 산촌 - 노수현의 「산촌」 37
봄의 정경 - 노수현의 「계산정취 溪山情趣」 38
산골짜기 풍경 - 이용우의 「점우청소 霑雨淸疎」 39
꿈꾸는 계곡 - 이용우의 「계산소림 溪山疎林」 40
시골 이야기 - 이용우의 「시골 풍경」 41
삼선암의 위용 - 변관식의 「외금강 삼선암 추색」 42
층계를 이룬 진주담 - 변관식의 「내금강 진주담」 43
옥류동 계곡 - 변관식의 「외금강 옥류천」 44
냇물은 쉼 없이 흐르고 - 변관식의 「춘경산수」 45
금강산 단발령 - 변관식의 「단발령」 46
가을의 빛 - 허백련의 「추경」 47
산에 들면 - 허백련의 「휴금산행 携琴山行」 48
강상에 쪽배 띄우고 - 허백련의 「산수」 49
먼 산 송림은 푸르고 - 허백련의 「원산창취 遠山蒼翠」 50
안개비가 내린다 - 허건의 「산촌」 51
봄 기운 - 허건의 「목포일우 木浦一隅」 52
만폭동 물소리 - 허건의 「금강산 만폭동」 53
산사는 저물 것이네 - 허건의 「산사」 54
바람도 불지 않는데 - 이응로의 「공주 풍경」 55
텅 빈 충만이 내 평화를 노래할 때까지 - 이응로의 「콤퍼지션」 56
나를 찾아 나서네 - 이응로의 「작품」 58
외로우니까 쏘가리다 - 이응로의 「군어 群魚」 59
군중 속에 숨다 - 이응로의 「군중」 60
고목과 고옥 - 김영기의 「계림의 가을」 62
만월도 따라 돈다 - 김영기의 「월하전진도」 63
치유하는 해 - 김영기의 「새벽」 64
억겁의 세월을 씻네 - 김영기의 「백두산 비룡폭 하경」 65
민족의 영산 - 김영기의 「천지효색 天池曉色」 66
바람처럼 구름처럼 - 김기창의 「복덕방」 67
군마의 풍경 - 김기창의 「군마」 68
침묵 속에 빛나네 - 김기창의 「태고의 이미지」 69
운보라는 새 - 김기창의 「태양을 먹은 새」 70
운보가 나비에게 자기 영혼을 입혔다 - 김기창의 「나비의 꿈」 71
바보산수 - 김기창의 「새벽 종소리」 72
부엉이가 꿈꾼다 - 박래현의 「달밤」 73
미로학습 - 박래현의 「작품」 74
수태는 아름답다 - 박래현의 「수태」 75
안개를 벗어나 하늘 오른다 - 배렴의 「연봉백운」 76
덕이 높고 끝없음같이 - 배렴의 「산고수장」 77
산촌에 들어 살리라 - 성재휴의 「산촌」 78
산은 어미 품이네 - 성재휴의 「산」 79
운명의 비애 - 장우성의 「일식」 80
무위無爲 - 장우성의 「춤」 81
어떤 인연 - 천경자의 「생태 生態」 82
전설적인 사랑 - 천경자의 「전설」 83
한심한 꿈 - 천경자의 「꽃무리」 84
태초의 고요 - 천경자의 「아리만다의 그늘」 85
헛된 꿈 - 박생광의 「십장생」 86
초인超人 - 박생광의 「전봉준 全琫準」 87
무당의 고축告祝 - 박생광의 「무당」 88
망부석 - 안동숙의 「망 望」 90
생성과 꿈 - 안동숙의 「돗자리와 나무」 91
억겁의 상흔傷痕 - 안동숙의 「救援」 92
자화상 - 안동숙의 「懷古의 情」 93
조선의 여인 - 이유태의 「여인 3부작-지.감.정.」 94
山寺의 새 - 이유태의 「산사신설 山寺新雪」 95
무심한 자유 - 이유태의 「하산 夏山」 96
유희 - 김정현의 「맥풍 麥風」 97
가을 숲속 이야기 - 김정현의 「수간 樹間」 98
마음에 담은 신록 - 김정현의 「신록의 화음」 99


Ⅱ. 색과 선의 이탈을 꿈꾸다
근대 서양화

얼 - 춘곡 고희동의 「부채를 든 자화상」 102
비운의 여인 - 나혜석의 「자화상」 103
물 긷는 아낙네 - 나혜석의 「농촌 풍경」 104
백자 항아리 - 이종우의 「아침」 105
별천지 - 백남순의 「낙원」 106
고요로운 슬픔이 이네 - 도상봉의 「개나리」 107
그리움 - 김인승의 「촉석루」 108
생명의 햇살이 내게 빛을 내리다 - 오지호의 「사과밭」 109
염원의 계절 - 오지호의 「칸나」 110
욕망은 둥글다 - 오지호의 「열대어」 111
초록 산이 세상을 품다 - 오지호의 「푸른 산」 112
영산이 인간을 품었네 - 구본웅의 「산」 113
이상 - 구본웅의 「친구의 초상」 114
늦가을 갈대밭에 서면 - 이인성의 「강변 풍경」 116
소녀의 꿈 - 김환기의 「여인과 항아리」 117
소통 - 김환기의 「메아리」 118
어머니 - 박수근의 「절구질하는 여인」 119
꿈 - 김환기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120
산마을에서 살려네 - 박수근의 「산」 122
진단 - 박수근의 「고목과 여인」 123
노인은 모두 돌부처다 - 박수근의 「노인」 124
생사의 세계 - 이중섭의 「투계」 126
따뜻한 남쪽나라 - 이중섭의 「도원」 127
춤 - 이중섭의 「가족」 128
소달구지 타고 - 이중섭의 「길 떠나는 가족」 130
연민의 얼굴 - 이중섭의 「황소 연작」 132
소년은 외롭다 - 류경채의 「가을 연작」 133
나는 지금 아득한 세계를 바라본다 - 유영국의 「산 연작」 134
산의 마음은 존재하고 있다는 것 - 유영국의 「산 연작·28」 136
민들레 꽃씨처럼 - 류경채의 「독백」 138
이 한 몸이 외로워 - 류경채의 「나무아미타불」 139
인간은 외롭지 않다 - 남관의 「독백」 140
제단은 살아 있다 - 남관의 「허물어진 제단」 141
난 인간이 싫어 - 남관의 「달밤」 142
전쟁은 인간을 만든다 - 남관의 「역사의 흔적」 143
고적이 빛을 발하다 - 남관의 「태양에 비친 허물어진 고적」 144
나를 돌아보다 - 남관의 「묵상」 145
신과 대화하다 - 권옥연의 「신화시대」 146
외출하는 소 - 권옥연의 「소」 147
더는 욕심 밖이다 - 권옥연의 「토기」 148
수줍은 소녀 - 권옥연의 「소녀 누드」 149
육체 - 박영선의 「나부 裸婦」 150
수선화처럼 피어날 소녀 - 임직순의 「모자를 쓴 소녀」 151
술내골의 추억 - 박상옥의 「양지」 152
그때 그 시절 - 손응성의 「대접」 153
신화를 찾아서 - 최영림의 「우화 寓話」 154
신은 변증법을 사랑한다 - 최영림의 「남과 여」 155
탄생 - 최영림의 「태모 胎母」 156
한 소식 - 장욱진의 「까치」 158
나들이 - 장욱진의 「가로수」 159
대비되는 세계 - 김흥수의 「염 念」 160
토기와 꽃 - 문학진의 「테라코타와 꽃병」 161
나들이 - 김주경의 「가을의 자화상」 162


Ⅲ. 민족의 치유를 믿다
근대 월북화

늦가을의 총석정 - 배운성의 「해금강총석정 海金剛叢石亭」 164
나를 담는다는 건 - 김용준의 「자화상」 165
목욕하는 여인 - 김주경의 「사양 斜陽」 166
노래하는 숲속 - 길진섭의 「풍경 風景」 167
가족을 그리다 - 정현웅의 「인물 人物」 168
색다른 여인 - 이쾌대의 「여인초상 女人肖像」 169
인물을 살리다 - 임군홍의 「행려 行旅」 170
지리산 마을 - 정종여의 「지리산 풍경」 171
생명의 부재 - 최재덕의 「어항」 172
집은 밤에도 살아 있다 - 김만형의 「풍경 風景」 173
신선한 나부 - 정온녀의 「두 명의 나부 裸婦」 174
아버지와 아들 - 이건영의 「산수 山水」 175


| 해설 |
서정의 결핍을 채우려는 ‘소박한 시인’의 생채기 176

| 주요 약력 | 219

작가 정보
저자(글) 장병훈
인물 상세 정보

저자는 고교시절 갈멜수도회 수도원장, 시인, 화가를 꿈꾸었다. 초등학교, 특수학교, 강원대학교에서 47년간 교육자의 길을 걸었고 시인, 문학평론가, 화가, 아동문학가, 동화작가, 동요작사가로 활동하고 있다. 서라벌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와 가톨릭신학대학 라틴과를 수학했으며 한국방송통신대학 초등교육학과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을 마친 후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에서 현대문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70~’80에 현대시학, ‘74에 강원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하였고 시집으로는 『님의 나라에서 바람이』, 『나귀에게 길을 묻다』, 『우주의 한 켠을 떠 흐르며』, 『어여쁨이야 어디 함백산 야생화에 비하랴』가 있다. 대한민국 서화대전의 초대작가와 심사위원, 대한민국 신사임당 미술대전의 추천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초등과 중등 음악교과서에 저자가 작사한 동요가 여럿 게재되었다.
‘80 암호동인, 바다시낭송회, 솔바람동요문학회 활동을 비롯하여 한국생활문학 주간, 부회장과 강원도 문협 부회장, 강릉 문협과 관동문학 회장을 역임하였다. 교육계에서 황조근정훈장, 참스승상, 교육공로상을 받았고, 문학계에서 대한민국동요대상, 강원문화상, 방통문학상, 방송문학상, 옥포문화상, 강원문학상, 강원교원문학작가상, 관동문학상을 받았다. 지금은 도우당 화실에서 한국화와 서양화를 그리고, 벽화당에서 글을 읽고 쓰면서 살아가고 있다.

시인이 읽어주는 그림이야기

같은 분야의 도서
더보기
꽃처럼 향기처럼
인생의 꽃
당신의 빈자리
작은 자의 떨리는 고백
나를 사랑하사 나를 위하여
여행자 기분으로 제주에 살다
작은거인 한의빌더
기억은 엄마가 주는 선물입니다
간이역
치앙마이 방랑자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7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 공지사항
  • 개인정보취급방침
  • 앱다운로드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 좋은땅㈜ B1 ~ 5F ©G-WORLD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홈

검색

전체

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