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편하게 출판 문의 등록하기!📌

저자님들이 자주 묻는 질문을 확인해보세요
좋은땅
  • 로그인 아이콘
  • 로그인하고 도서 제작해 보세요!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 센터 아이콘

    고객 센터

  • 책 소개 아이콘

    책 소개

  • 화제의 책 아이콘

    화제의 책

  • 수상 도서 아이콘

    수상 도서

  • 저자 인터뷰 아이콘

    저자 인터뷰

  • 회사 소개 아이콘

    회사 소개

나의 도서 관리
  • 공지 사항
  • [공지] 2023년 종합소득신고용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안내 (2022년도 귀속분)
좋은땅 도서 이야기
  • 책 소개
  • 출판 이야기
  • 요즘 트렌드
저자들의 생생한 이야기
  • 저자들의 이야기
  • 좋은땅 TV
좋은땅 가이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회사 소개
  • 고객센터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제휴문의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지월드빌딩 (서교동 395-7)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저자님,

5,478번째

도서 제작에 도전해보세요!

황정연 저자
좋은 작가를 가꾸는 좋은 농부들이 있는 곳

황정연 저자

고경선 저자
내 책은 내가 만든다—출판계의 ‘스튜디오 드래곤’ 느낌의 자비출판 명당

고경선 저자

정동재 저자
저자의 마음을 읽어내는 능력과 진정성으로 무장하고 진중한 미인드로 최선을 다해주는 , 몇번이든 함께하고 싶은 출판사.

정동재 저자

현진호 저자
저자의 마음을 읽어주는 곳

현진호 저자

김정식 저자
출판 비용이 알맞고 홍보 디자인 편집력이 우수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또한 관계자 분들이 친절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김정식 저자

이동문 저자
작가라는 미지의 영역에서 꿈을 이룰 수 있는 교두보가 되는 좋은 땅

이동문 저자

도서 제작에 대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좋은땅 출판사의 출판 시스템이 궁금하다면?

좋은땅
좋은땅

로그인 정보를 잊으셨나요?

아직 좋은땅 계정이 없나요?

회원가입

책 소개

좋은땅

함께 "좋은 책"을 만들어 갑니다.

  • 공지사항
  • 고객센터
  • 로그인
  • 회원가입
  • 책 소개
  • 요즘 트렌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후기
  • 좋은땅 TV
  • 더보기
출판 상담하기
닫기 아이콘
  • 책 소개 
  • 이달의 신간
  • 베스트셀러
  • 스테디셀러
  • 분야별 도서
  • 수상 및 선정 도서
  • 출판 이야기 
  • 화제의 책
  • 출간 전 연재
  • 북카드
  • 칼럼G
  • 좋은땅 사람들
  • 요즘 트렌드 
  • 트렌드 인사이트
  • 온라인 서점 베스트
  • 매장 진열
  • 언론 소개
  • 저자들의 이야기 
  • 저자 인터뷰
  • 함께 한 저자
  • 출판 후기
  • 좋은땅 TV 
  • 책 소개 영상
  • 후기 인터뷰
  • 좋은땅 쇼츠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 과정
  • 서점 유통
  • 판매 인세
  • 마케팅 프로그램
  • 유통 대행
  • 회사 소개 
  • 좋은 문화
  • 연혁
  • 좋은땅 공간
  • 고객 센터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자료실
  • 이벤트
출판에 대한 고민들 | 좋은땅과 함께라면 안심하실 수 있습니다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센터 아이콘

    고객센터

책 소개 > 역사 국외에서 본 19세기말의 동아시아와 김홍집

국외에서 본 19세기말의 동아시아와 김홍집
  • 김동한
  • 좋은땅
  • 2019년 06월 25일
공유하기
역사

국외에서 본 19세기말의 동아시아와 김홍집

  • 김동한
  • 좋은땅
  • 2019년 06월 25일

도서 기본 정보

  • 분야
  • 면수
  • 판형
  • 제본
  • ISBN
  • 전자책
  • 가격
  • 역사
  • 492쪽
  • 152mm × 225mm
  • 무선
  • 9791164353972
  • 없음
  • 15,000원

도서 판매처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영풍문고
  • 인터파크 도서
이 책과 관련된 게시글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서구의 식민지화 사조가 19세기 중반 동아시아로 밀려 닥치면서 동아시아의 3국은 이에 대한 대처에서 각기 다른 행보를 취했다. 청국은 양무운동을 전개했고, 일본은 메이지유신을 통해서 부강해졌는데, 조선은 쇄국정책으로 일관하다가 일본에게 당해 불평등조약인 강화도조약을 체결해야 했다. 이렇게 해서 조선은 문호를 개방했지만 조선은 사대사상하에서 중국을 종주국으로 하고 쇄국정책으로 일관하였으며, 민씨 척족의 세도정치로 정부가 극도로 부패한 가운데 지방의 탐관오리들의 학정으로 농민들의 생활이 도탄에 빠져서 크고 작은 봉기가 연이어 일어났는데, 1894년 봄에 일어난 동학농민군의 난은 정부군이 진압에 실패하자 청나라에 원병을 요청하였다. 그러자 일본군이 이에 맞서 대거 조선에 출동하여 청일전쟁을 유발하고 청군을 조선 땅에서 몰아내고 조선의 개화 개혁을 강권했다. 청일전쟁에서 일본의 대승은 유교권 내에서의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국제질서가 와해되고 일본이 지배세력으로 대두하는 새로운 국제 질서인 식민지화 질서가 정착하게 되었다.

일본군이 대승을 거듭하는 중 조선은 김홍집(金弘集) 중심의 개화파 정권이 근대화 개혁을 단행하였다.

1895년(을미년) 민비시해를 겪고 이어서 단발령의 강행으로 민심이 극도로 소란해진 틈을 타서 친러파는 고종의 아관파천(俄館播遷)을 성사시키고, 정적인 김홍집을 암살함으로써 갑오개혁은 종말을 보게 됐다. 김홍집은 우리나라 개화의 선각자였고, 문호개방의 선구자였으며, 근대화 개혁을 주도하다 54세의 젊은 나이로 순직의 운명에 처했다. 그는 부패할 대로 부패한 당시의 정국에서 재색을 멀리하고 오르지 충신보국(忠臣報國)에 진력한 정치인이었다.

목차

서언 … 4
감사의 말 … 9
일러두기 … 10
제1부 조선조 말의 정치상
1. 두 세기에 걸친 당쟁(黨爭) … 20
붕당(朋黨)은 정권을 잡기 위한 양반들의 집합체들/ 붕당의 시작/ 훈구파(勳舊派)와 사림파(士林派)의 형성/ 사림파는 서인(西人)과 동인(東人)으로 분열하여 당쟁을 계속하다가 정쟁에서 승리한 동인은 서인의 처벌 문제로 북인(北人)과 남인(南人)으로 갈라졌다/ 선조(宣祖)의 세자 책봉 문제로 북인은 대북과 소북으로 갈라지다
2. 호란(胡亂)에 시달리는 인조(仁祖) … 25
3. 예송(禮訟)을 놓고 일어난 정권 교체 … 26
4. 노론(老論)과 소론(小論)으로 분열하는 서인 … 27
5. 숙종(肅宗)의 환국(換局) 정치 … 28
6. 노론과 소론의 정쟁 … 30
7. 영조의 탕평책(蕩平策) … 31
8. 임오화변(壬午禍變)과 관련한 시파(時派)와
벽파(僻派)의 형성과 정조(正祖)의 탕평책 … 32
9. 천주교가 전래되면서 공서파(攻西派)와
신서파(信西派)가 형성되고 천주교 박해가 정쟁에 이용됐다 … 33
10. 한 세기에 걸친 세도정치(勢道政治) … 34
안동 김씨들은 비변사(備邊司)를 장악하고 권세를 부렸다
11. 세도정치로 인해 문란해진 삼정(三政) … 38
12. 12세의 이명복(李命福) 조선조 26대 국왕으로 즉위 … 40
13.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섭정 10년, 내정개혁 … 43
14. 대원군의 천주교 탄압과 쇄국정책(鎖國政策) … 46
병인사옥(丙寅邪獄)과 병인양요(丙寅洋擾)/ 제네럴 셔먼(General Sherman)호 사건/ 신미양요(辛未洋擾)/ 오페르트(Oppert)의 남연군(南延君) 묘 도굴(盜掘) 사건과 대원군의 척화비(斥和碑) 건립
15. 일본의 개항과 메이지유신(明治維新) … 56
미국 해군제독 페리(Perry)의 함포외교(艦砲外交)에 의한 일본의 문호개방/ 미일수호통상조약(米日修好通商條約)/ 사쿠라문 밖의 변(櫻田門外變)/ 사쓰에이전쟁(薩英戰爭)과 시모노세키전쟁(下關戰爭)/ 보신전쟁(戊辰戰爭)에서 바쿠후정권(幕府政權)이 패하고 조슈한(長洲藩)과 사쓰마한(薩摩藩) 중심의 새 정권이 수립되고 왕정복고(王政復古)를 이루다/ 메이지유신(明治維新)
16. 고종과 민비(閔妃)의 친정(親政) … 78
제2부 문호개방과 격동의 조선조
1. 초기 메이지정부(明治政府)의 대조선 정책 … 88
2. 일본의 정한론(征韓論)과 이와구라사절단(岩倉使節團) … 89
3. 문호개방 협상의 구실을 만들기 위하여 일으킨
운요호(雲揚號) 사건 … 92
4.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또는 강화도조약(江華島條約) … 93
5. 일본에 수신사(修信使) 파견과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이 반입한 책자 『조선책략(朝鮮策略)』 … 104
6. 고종의 개화정책(開化政策) … 113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 설치/ 군의 재편과 별기군(別技軍) 창설/ 비밀리에 일본에 보낸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청국 덴진에 보낸 영선사(領選使)/ 김옥균(金玉均)의 일본 개화상 시찰(김옥균의 제1차 방일)/ 미국 및 서구 열강과 수호통상조약 체결/ 보빙사(報聘使) 미국 방문/ 경복궁에 전기등 가설
7. 일본과의 교역이 협정관세제(協定關稅制)로 … 145
8. 임오군란(壬午軍亂), 대원군 납치
그리고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 148
임오군란(壬午軍亂)/ 대원군 납치/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재집권한 민비 척족은
친청 정책을/ 제3차 수신사 일본 파송, 정사 박영효(朴泳孝)의 고문 자격으로 김옥
균 다시 일본행
9. 리홍장(李鴻章)의 압력으로
청국과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 체결 … 163
리홍장이 고종의 외교고문으로 보낸 묄렌도르프(Moellendorff, 穆麟德)/ 시급히 필요한 자금 조달 문제를 놓고 일어난 김옥균과 묄렌도르프 간의 논쟁/ 김옥균은 고래포획권(捕獲權)을 일본 어업회사에 팔고 서재필(徐載弼) 등을 일본 육군도야마학교(陸軍戶山學校)에 유학 보냈다/ 김옥균의 제3차 방일, 300만 엔 차관 교섭에 실패하고 빈손으로 귀국
10. 위정척사사상(衛正斥邪思想)과 대원군의 쇄국정책(鎖國政策) … 179
위정척사사상(衛正斥邪思想)/ 개화사상(開化思想)의 형성/ 개화사상의 보급을 위한 신문 발행/ 온건과 급진으로 양분되는 개화사상파
11. 청나라의 양무운동(洋務運動)과 리홍장(李鴻章) … 190
12. 3일로 끝난 급진개화파의 갑신정변(甲申政變) … 197
갑신년에 개화당이 일으킨 정변(갑신정변)/ 갑신정변의 실패를 본 후쿠사와 유기치(福澤諭吉)는 크게 실망/ 권세에 연연하는 민영익(閔泳翊)/ 한성조약(漢城條約)/ 실패한 갑신정변은 동아시아의 판도를 바꾸게 하는 계기로/ 영국 함대의 거문도(巨文島) 불법 점령 사건/ 청의 리홍장(李鴻章)과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조선 문제를 놓고 체결한 덴진조약(天津條約)/ 일본의 메이지유신(明治維新)을 주도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러시아의 남정정책(南征政策)과 대원군의 환국
13. 조선통상총리(朝鮮通商總理) 위안스카이(袁世凱)하의 조선 … 242
위안스카이 조선통상총리가 돼서 다시 조선에 오다/ 대청황가해관총세무사(大淸皇家海關總稅務司) 하트(Robert Hart) 경(卿)하의 조선해관/ 기고만장(氣高萬丈)한 위안스카이/ 조선에 들어온 청상(淸商)과 일상(日商)들/ 청국이 조선을 식민지 취급할수 있었던 것은/ 청의 외교권 침해 가운데 박정양(朴定陽) 주미 공사로 부임/ 고종의 인아거청(引俄拒淸) 정책과 위안스카이의 고종 폐위 획책/ 국고는 탕진됐고 정부는 극도로 부패했으며 백성들은 생활고에 신음/ 당시 일본의 대조선 정책/ 김옥균의 암살
14. 조선과 동아시아에 새로운 판도를 초래하는
동학농민군란(東學農民軍亂) … 263
동학농민군의 제1차 봉기(蜂起)/ 청일 양국 조선에 파병/ 일본은 조선의 내정개혁
강권/ 일본군의 쿠데타, 일본군 경복궁을 점령
15. 청일전쟁(淸日戰爭) 발발 … 279
일본에서 일어나는 반청감정(反淸感情)을 청일전쟁 도발에 이용/ 일본의 국회도정부의 무능을 비난/ 풍도해전(豊島海戰) - 청일 간의 첫 (해상) 전투/ 성환전투(城歡戰鬪)/ 일본 각의(閣議)에서 의결한 대조선 정책/ 평양성(平壤城) 전투/ 황해해전(黃海海戰)/ 일본 제1군 압록강을 건너 랴오둥반도(遼東半島) 전역을 점령/ 척왜양창의(斥倭洋倡義)의 기치를 내걸고 재봉기한 동학농민군/ 일본 제2군 뤼순항(旅順港, Port Arthur) 점령/ 일본 육해군 공동작전으로 웨이하이웨이(威海衛) 함락/ 시모노세키조약(下關條約)/ 어떻게 해서 대국 중국이 청일전쟁에서 섬나라 일본에게 패했는가?/ 일본의 랴오둥반도 할양에 반발하는 러시아, 프랑스, 그리고 독일 3국의 간섭(3국간섭)/ 일본군이 상륙하자 본국으로 도주한 위안스카이는 후에 중화제국(中華帝國)의 황제가 된다
제3부 조선의 개화 개혁
1.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를 설치하고
단행한 제1차 갑오개혁(甲午改革) … 319
중국년호(中國年號) 사용을 중지하고 개국기원(開國紀元)을 사용/ 궁내부(宮內府)를 신설하고 의정부(議政府)의 6조(六曹)를 8아문(八衙門)으로 개편/ 과거제도(科擧制度)를 폐지하고 새로운 관료임용제도 제정/ 봉건적 사회제도의 개혁 - 봉건적 신분 제도 그리고 노비제도 등의 폐기와 인신매매 금지/ 고문(拷問) 그리고 연좌법(連坐法)과 같은 악법의 폐지/ 조혼(早婚) 금지와 과부의 재혼 허가/ 재정 · 경제제도를 개선하여 탁지아문(度支衙門)을 신설하고 재정 업무를 일원화/ 금납제(金納制) 실시/ 세제개혁(稅制改革)/ 화폐제도(貨幣制度) 개혁/ 새 도량형(度量衡)의 도입/ 경제개혁과 관련하여 아쉬웠던 점들/ 근대식 경찰제도의 도입/ 교육제도 개혁/ 시도한군사제도의 개혁
2. 대원군의 실각 … 337
3. 김홍집-박영효 연립내각의 의한 제2차 갑오개혁 … 340
홍범14조(洪範十四條, 열네 가지의 큰 법)/ 의정부(議政府)를 내각(內閣)이라 개칭/ 도(道)를 부(府)제로 한 지방행정제도 개편/ 교육법 제정/ 치안제도 개선/ 사법제도 개
혁/ 군사개혁/ 육의전(六矣廛) 폐지
4. 갑오개혁 개관(槪觀) … 355
5. 이노우에 가오루(井上 馨) 전권공사 경질되다 … 357
6. 격동하는 을미년(1895년)의 조선 정국(政局) … 359
김홍집-박영효 연립내각에서 김홍집 총리대신 사퇴, 친러 박정양-박영효 연립내각 탄생, 실권하고 일본으로 재망명하는 박영효, 대원군의 손자 이준용(李埈鎔), 대역죄로 강화도에 유배됐으나 이노우에 가오루(井上 馨)에 의하여 석방
7. 민비 살해의 을미사변(乙未事變) … 370
8. 제4차 김홍집 내각 탄생과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 … 383
국호를 대조선제국(大朝鮮帝國)으로 고치고 태양력(太陽曆) 사용을 실시/ 정치제도개혁/ 갑오개혁을 통해서 이루어진 교육제도의 개혁/ 종두법(種痘法) 제정/ 우편제도 확대 실시/ 군제 개편/ 지방행정제도의 개혁, 향회(鄕會)의 민주화/ 상무회의소규칙(商務會議所規則) 제정 · 반포
9. 단발령(斷髮令)과 그의 강행으로 인한 파문 … 393
을미의병(乙未義兵)의 의거/ 문제의 단발령, 4년 후 재반포/ 문제의 인물, 유길준(兪吉濬)
10. 춘생문사건(春生門事件) 404
11. 고종의 아관파천(俄館播遷)과 김홍집(金弘集)의 피살 … 408
친러파 쿠데타에 의한 고종의 아관파천/ 친일 개화파 대신들의 체포/ 김홍집 피살의 진상, 김홍집의 죽음은 타살이 아니었다/ 러시아 공사관에서 친러파를 중심으로 하는 내각을 구성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고종
12. 개신기독교 선교사들의 교육사업, 의료사업 그리고 선교 … 430
13. 우리나라 개화 개혁의 선구자 김홍집(金弘集) … 446
맺는말 … 472
동아시아 3국의 주요 사건 비교연대표 … 485
참고문헌 … 486

작가 정보
저자(글) 김동한
인물 상세 정보

국외에서 본 19세기말의 동아시아와 김홍집

같은 분야의 도서
더보기
장한결의 부도지 강의(개정판)
보다 더 알기 쉬운 유럽사 연대기(개정판)
머릿속에 박제하는 한국사
다시, 비상계엄
빅희스토리
삼국지 길라잡이
조선 멸망의 원인과 우리의 나아갈 길
암행어사 선정불망비
지리산은 절을 품고 절은 지리산을 담다
보다 심플한 유럽사 연대기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7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 공지사항
  • 개인정보취급방침
  • 앱다운로드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 좋은땅㈜ B1 ~ 5F ©G-WORLD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홈

검색

전체

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