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독서는 타인의 지식을 가져오는 작업이다. 물론 모든 앎이 타인의 지식을 배움이라는 과정을 통해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지만 세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독서만큼 유익한 것은 찾기 힘들다. 어느 철학자 겸 교수는 독서에 너무 빠져들지 말라고 충고한다. 책을 던져 버리라는 얘긴데 그분의 주장은 사색할 수 있는 시간, 나를 알아가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그런 뜻인 것 같다. 나를 안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 근저에는 성찰이라는 되돌아보는 행위가 있어야 한다. 성찰은 내안에 우물을 파는 행위다. 그 우물에 물이 고인다. 그것이 도덕이다. 도덕적이고 윤리적이지 않고서는, 모든 권위와 지위와 명성 그리고 안정된 삶은 모래 위의 성같이 위태로운 것일 뿐이다. 그것이 자연의 순리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행복할 수 있는 것은 도덕적인 삶 때문이다. 행복해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도덕은 노력해서 행하는 것이 아닌 당위적인 것이어야 한다. 그것에는 객관적이며 보편적이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다. 그래야 주체적일 수 있다.
내 행동에 책임이 따르는 엄격함 속에 주체적인 자아는 완성된다. 주변을 밝게 하되 경솔하지 않고 어둠을 보되 너무 무겁지 않아야 한다. 마음 한가운데에 지나친 측은지심이 가득 차 있으면 내 삶 또한 어두워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어두운 그림자를 없애기 위해서 우리의 머릿속에 있는 도덕적인 관념을 몸으로 실천하다 보면 마음에 있는 어둠을 조금이나마 몰아낼 수 있다. 그 실천을 올바르게 이끄는 것이 독서가 아닌가.
- 서문 중에서
목차
들어가며…… …04
서문: 독서의 힘 …13
- 『교양이란 무엇인가』, 동경대 교양학부
Ⅰ. 지혜의 숲을 보다 …23
1. 종교의 근원을 찾아서 …25
-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 버트런드 러셀
- 『무지개를 풀며』, 『이기적 유전자』, 『만들어진 신』, 리처드 도킨스
- 『예수는 신화다』, 티모시 프리크, 피터 갠디
- 『구약성경과 신들』, 주원진
- 『지도에서 사라진 종교들』, 도현신
- 『십일조가 알고 싶다』, 윤상원
- 『일본인은 왜 종교가 없다고 말하는가』, 아마 도시마
- 『죽음이란 무엇인가』, 셸리 케이건
- 『고대 이스라엘의 발명』, 키스 W. 휘틀럼
- 『잔인한 이스라엘』, 랄프 쇤만
2. 인류 문명의 기원과 역사의 발전 …71
- 『총균쇠』, 재레드 다이아몬드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 『세계사의 구조』, 『세계사의 구조를 읽는다』, 가라타니 고진
- 『역사』, 남경태
3. 자본주의는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는가 …101
- 『거대한 전환』, 칼 폴라니
- 『뉴캐피탈리즘』, 리처드 세넷
- 『달러』, 엘렌 H. 브라운
- 『그림자 노동』, 이반 일리치
- 『우리는 모두 아나키스트다』, 제임스 스콧
- 『군중심리』, 귀스타브 르 봉
- 『언론윤리의 재발견』, 스티브 J.A 워드
- 『위험한 정치인』, 제임스 길리건
-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마이클 샌델
4. 우리가 알지 못하는 몸의 언어 …173
- 『시간의 역사』, 스티븐 호킹
- 『생명의 춤』, 에드워드 홀
-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 피에르 쌍소
- 『뇌내혁명』, 하루야마 시게오
- 『음식혁명』, 존 로빈스
- 『손의 신비』, 존 네이피어
- 『장인』, 리처드 세넷
Ⅱ. 지혜의 숲을 걷다 …213
1. 우리의 생각을 지배하는 것 …215
- 『생각의 지도』, 리처드 니스벳
- 『풍경과 마음』, 김우창
2. 어둠 …225
3. 박범신 작품 속 갈망의 의미 …230
갈망의 삼부작―『촐라체』, 『고산자』, 『은교』―을 읽고
4. 인간의 구원은 어디에 …252
외부의 변혁을 통해 구원을 얻고자 한 루쉰
- 『아큐(Q)정전』, 『광인일기』, 루쉰
내면의 자아에 깊숙이 들어가 안식을 구한 나쓰메 소세키
- 『마음』, 『문』, 나쓰메 소세키
5. 바라보는 세계 …266
6. 흔들림에 대한 단상 …271
7. 주름의 본질 …277
- 『질 들뢰즈』, 주름
8. 사의(寫意) …284
9. 미투 현상과 마음속 일탈 …291
10. 공정성의 심리 …299
11. 글쓰기와 번역, 그리고 노벨상 …304
- 『갈등하는 번역』, 윤영삼
12. 주의 깊게 보기 …311
- 『세 개의 동그라미』, 김우창
13. 자본가와 소시민 …316
-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베르나르 베르베르
14. 이해한다는 것 …323
15. 유,초등교육에 대한 소견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