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본서는 성만찬이라는 거룩한 틀을 통해 개인의 구원 문제에 치중했던
삶에서, 하나님과 이웃 그리고 창조세계와의 온전한 사귐이라는 관계
적 삶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는 그리스도께서 베풀어 주신 성만찬에 초대받는다. 그리고 그곳
에서 하나님과 교제하며 하나님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창조세계를 향
한 생태적 회심을 요청받는다.
목차
서문 _ 7
제1장 기존의 성만찬 이해에 대한 생태적 반성
성만찬의 일곱 가지 이미지 _ 12
성만찬의 새로운 이미지 _ 24
제2장 성만찬의 생태적 상징
상징의 이해와 성만찬의 상징성 _ 30
빵과 포도주의 상징적 의미 _ 39
성만찬, 모든 생명을 향한 개방성과 보편성 _ 51
성만찬, 하나님의 몸 된 세계를 보여 주는 렌즈 _ 55
성만찬, 우주적 축성 _ 67
제3장 초기 교회 성만찬 기도에 나타난 생태적 주제
비르카트 하마존(birkat ha-mazon) _ 79
디다케(Didache) _ 85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편지(Letter to the Corinthians) _ 88
사도전승(Apostolic Tradition) _ 93
아다이와 마리의 예전(The Liturgy of Addai and Mari) _ 96
성 마가의 예전(The Liturgy of St. Mark) _ 98
성 바질의 비잔틴 예전(The Byzantine Liturgy of St. Basil) _ 100
사도헌장(Apostolic Constitutions) _ 102
초기 교회 성만찬 기도에 담겨 있는 창조사역과 창조세계 _ 107
제4장 성만찬의 봉헌과 우주적 성례의 제사장
봉헌의 신학적 의미 _ 111
제사장으로서의 인간의 역할 _ 116
생태적 위기에 응답하는 우주적 성례의 제사장 _ 122
제5장 성령 임재 기원: 생명의 영을 부름
성령 임재 기원의 궁극적 목적 _ 132
성만찬에서 만나는 생명의 영 _ 142
제6장 창조세계를 향한 성만찬의 종말론적 희망
그리스도교 종말론과 종말론적 신앙 _ 152
공관복음과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성만찬의 종말론적 요소 _ 159
성만찬의 종말론적 감성, 기쁨 _ 168
성만찬이 지니는 종말론적 차원의 생태적 의미 _ 178
생태적 성만찬을 위한 제안 _ 186
참고 문헌 _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