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스트레스는 어떻게 철학이 되는가?
누구나 겪는 보편적인 심리에서 건져 올린 동양사상의 향연
나는 이 책에서 한결같이 ‘스트레스’만으로 유교, 불교, 도교를 하나로 꿰뚫을 것이다. 그것은 스트레스라고 하는 현대적 개념이 칸트에서처럼 객관과 주관을 한 곳으로 통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며, 더 나아가 유교, 불교, 도교는 모두 이러한 통합적 사고를 요청하고 있음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스트레스는 충분히 심리적 용어에서 벗어나 철학적 개념으로 탈바꿈할 수가 있다.
목차
책머리에 칸트적으로 유교, 불교, 도교 생각하기 6
데카르트 코기토 비판 9
칸트-피히테-유식불교 동일철학 28
제1부 사랑의 즉자대자
제1장 개인 58
제2장 사회 102
제3장 실천 135
제2부 해제
1장 스트레스라는 개념 158
2장 스트레스의 종교적 개념 165
2-1. 기독교, 불교, 유교, 도교의 종합적 이해
2-2. 기도의 종교철학적 원리
2-3. 각 종교의 유심주의
2-4. 종교상 성스러움의 한 특징: 무아(無我)를 중심으로
2-5. 불교를 빠르게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
3장 이어서 214
4장 그 밖에 218
4-1. 스트레스와 헤겔과 현대철학
5장 스트레스를 있는 그대로 바라봄으로써 생기는 공능 228
제3부 주석편
〈사단칠정론〉 234
〈노자〉 236
〈금강경〉 259
참고문헌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