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글) 민형종
인물 상세 정보1958년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나 한국외대, 미국 일리노이대(UIUC), 충남대, 한국방송통신대에서 경제학과 경영학, 국문학을 공부하였다. 협상을 주제로 논문을 쓰고 학위(경영학박사)를 받았다.
1981년 공직에 들어가 조달청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오늘도 우리는 협상을 한다』(2021)가 있다.
유한한 삶이기에 그 자취를 기록으로 남겨두는 게 좋다는 생각으로 이 책을 썼다.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모사재인 성사재천(謀事在人 成事在天).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사람이 꾀하는 일의 성사 여부는 하늘이 정하니 사람으로선 그저 할 바를 다할 뿐…. 모두 일의 결과보다는 ‘최선을 다하는 과정’에 방점이 찍힌 고사성어다. 일제의 우리 농촌 수탈이 기승을 부리던 무렵, 남도의 궁벽한 시골에서 태어나 학자로서 외길을 걷다 향년 67세로 생을 마감한 지포 선생의 진지하고 엄숙한 삶의 자취와 마주하면서 이 글귀들이 문득문득 떠올랐다.
선생은 어려운 환경에서 거듭 불운을 겪으면서도 묵묵히 정진했다. 학자로서 ‘끊임없는 연찬’의 자세를 흩트리지 않았다. 늘 긍정적이고 발전지향적인 삶의 태도를 견지했다.
지포 선생은 임종 때까지 개발경제학자, 거시경제학자로서 본분을 다하였다. 나고 자라면서 농촌의 빈곤과 지역의 낙후를 직접 보고 겪었던 영향으로 소명 의식을 갖고 오랜 기간 지역개발에 신념과 열정을 쏟았다. 이론에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 · 지역경제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과 실행 전략을 마련하여 이를 대외적으로 적극적으로 펼쳐 나갔던 ‘실천주의 학자’였다.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백가쟁명의 해명 논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종합적인 처방을 제시하였다. 개항 이후 한국경제를 긴 호흡으로 분석 · 통찰하여 경제 정책적 함의와 그 구조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사회주의 경제를 대표하는 미국경제와 소련경제의 위기 상황을 해부 · 진단하고 경제정책의 대전환과 체계적인 제도개혁을 권고하였다. 한 세기에 걸친 근대 및 현대 매크로 경제학의 지적 조류를 조감하여 경제 세계관 · 경제 철학 · 학설 · 이론적 프레임워크 및 분석 방법에 있어 어떠한 변혁이 이루어져 왔는지 경제사적으로 조명하여 세상에 내놓았다.
- 후기 중에서
책을 펴내면서6
1부 지포가 태어나 걸어간 길
1장 일제의 농산물 수탈이 기승을 부리던 무렵 남도의 벽촌에서 나고 자라다14
월출산의 고장, 왕인 박사의 고향 영암에서 탄생15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고19
할아버지와 어머니의 엄한 훈육 덕분에 바르게 성장21
호적 나이가 잘못되어 사범학교에 가지 못하고 크게 좌절28
2장 일찍 가정을 이루고 중등 교육계에 몸담다33
열여섯에 할아버지가 정해 둔 배필과 결혼34
황해도 명신중학교 졸업 후 광주사범 강습과 입학40
해방 후 동국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43
중등 교육계 교사로 사회생활 시작49
3장 대학교수가 되어 학문의 연찬과 후진 교육, 지역사회의 발전에 힘쓰다50
전남대학교 설립 초기 상과대학 전임강사로 임용51
대학의 발전과 함께 교수, 학자로서 성장53
전남대학보사 편집국장을 겸직하며 『전남대학보』 발행55
상과대학장 시절 전남대학교 부설 경영학전공 연수생 과정과 지역개발연구소 운영57
학자로서 난숙기에 경북대학교에서 경제학박사 학위 취득62
4장 총장의 중책을 맡아 대학의 연학(硏學) 분위기 조성에 심혈을 기울이다64
1970년대 중반의 어려운 시기에 전남대학교 제8대 총장으로 임명65
〈우리의 교육지표〉 사건으로 어수선한 상황에서 제9대 총장으로 재임명72
5 · 18광주민주화운동 발발 후 총장 보직 사퇴와 교수직 해직76
5장 역경을 딛고 학자 본연의 소임을 다하다78
해직의 아픔을 견디며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의 규명에 진력79
전남대학교로 다시 돌아와 강의와 집필로 노교수의 열정 불태워83
수연(壽宴) 자리에서의 인생 특강89
동학(同學)의 화갑 기념 논문집 봉정95
6장 원불교 신앙생활과 사회 · 저술 활동 하며 만년을 보내다100
원불교 신앙과 교리에 심취하며 ‘법열의 힘’ 얻어101
‘극일(克日) 의지의 표현’인 왕인 박사 현창 사업에 참여109
전남대학교 고별강연118
40년 강단 정년퇴임123
소련의 개혁 · 개방 노선이 북한의 경제정책 변화에 미칠 영향 연구129
20세기 100년에 걸친 경제학의 조류 변화에 대한 집필에 나서134
암과 투병하며 집필을 다 끝내고 운명138
2부 저술을 통해 본 지포의 학문 세계
7장 초지일관의 자세로 지역사회 · 지역경제 개발 연구에 매진하다145
「근대화와 인력개발」146
「지역사회 개발의 기본 전략」 151
「호남 지역의 구조적 정체성의 요인 분석」162
기타 지역개발과 관련한 연구논문173
8장 경제문제, 경제학의 현상에 대해 균형적 · 종합적으로 접근하며 긴 호흡으로 통찰 · 분석하다174
『거시경제이론의 새 과제(부제: 스태그플레이션의 해명 논리)』175
『미국경제의 위기(부제: 레이거노믹스의 귀결과 경제학의 현상)』193
『20세기 경제학의 조류(부제: 케인스혁명과 반혁명의 궤적)』215
9장 토종 경제학자로서 한국적 상황, 한국적 경제모델을 중시하다264
「일제 및 미군정 시대의 경제정책과 경제구조」265
『한국경제론』290
「소련 페레스트로이카의 북한 경제정책 변화에 미칠 영향」307
후기334
지포 민준식 선생 연보338
참고 문헌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