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The Opening]
제1장. 신학[theology]과 신앙[faith]이란 무엇인가?
제1항. 신학[theology]이란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faith]
A) 하나님을 향한 신앙
B)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
제2항. 신앙의 의미는 무엇인가?
A) 존 칼빈[John Calvin]의 신학과 신앙
B)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학과 신앙
C) 기독교인의 신학과 신앙
D) 신학의 분과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E) 결론
제2장. 계시(啓示)란 무엇인가?
제1항. 계시(啓示)의 개념
A) 존 칼빈[John Calvin]이 말하는 계시의 의미는?
B) 폴 틸리히[Paul Tillich]의 계시의 의미는?
C) 리차드 니버[H. Richard Niebuhr]가 말하는 계시의 의미는?
D) 계시(啓示)의 의미 다섯 가지 논지
제2항. 계시(啓示)의 종류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A) 자연계시와 초자연계시는 무엇인가?
B)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구별
C) 일반계시의 불충족성과 그 가치의 의의는?
1) 불충족성은 무엇을 뜻하는가?
2) 일반계시의 가치와 의의는 무엇을 뜻하는가?
a) 일반계시와의 관계성
b) 기독교와의 관계성
3) 특별계시의 그 의의는 무엇인가?
4) 특별계시의 방법은 무엇인가?
a) 하나님의 나타나심(顯現)
b) 하나님의 직접전달
5) 특별계시의 내용
제3장. 성경(聖經)
제1항. 특별계시와 성경과의 관계성
제2항. 성경의 영감이란 무엇인가?
A) 정의
B) 성경의 증거란 무엇인가?
C)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구체적 방안은 무엇인가?
제4장. 삼위일체(三位一體)
제1항. 삼위일체 하나님이란 무엇을 뜻하고 있는가?
제2항. 삼위일체 하나님이란 구체적 증거는?
제3항. 삼위일체 교리의 성경적 근거는?
A) 구약의 성경적 근거
1) 성부와 성자가 함께 표현되는 복수형의 성경말씀
2) 여호와의 사자(使者)가 하나님 자신으로 묘사된 성경말씀은?
3) “영”을 확실한 인격으로 불리워진 성경말씀은?
B) 신약의 성경적 근거
1) 예수님께서 세례 받은 이후의 이적은?
2) 예수님의 고별설교 중에서
3) 예수님의 최후명령은 무엇인가?
4) 사도(使徒)들의 축복은?
제4항. 성경 안에 표현된 삼위일체의 말씀은?
A) 성부[The Father]
1) 모든 창조물의 근원은 오직 하나님
2) 이스라엘 선민의 하나님 아버지로서 나타나심
3) 하나님의 영적 자녀인 성도들의 성부 하나님
a) 사랑에 담겨 있는 의미는 무엇인가?
b) 구제, 기도, 금식은 어떻게 하여야 옳은가?
c) 기도와 용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d) 생명과 구원은 성령을 통하여야만 하는가?
B) 성자[The Sun]
1) 성부 하나님에 의하여 성자 하나님의 영원적 발생
2) 메시야로 성육신하신 성자 하나님
3) 성령으로 잉태하여 성육신하신 성자 하나님의 탄생
C) 성령[The Holy Spirit]
1) 성령의 인격성
a) 성령 하나님은 한 인격으로 묘사되고 있다.
b) 성령 하나님의 인격적 특성은?
(1) 성령 하나님의 지성(知性)
(2) 성령 하나님의 감정(感情)
(3) 성령 하나님의 의지(意志)
c) 인격적(人格的)인 행동을 하시는 하나님
2) 성령의 발생
a) 성령은 그리스도의 “영”이라고 말하는가?
b) 그리스도에 의하여 파송되는 선교사실
c) 성도들의 마음에 내주(內住)하시는 성령 하나님
3) 성령의 사역(事役) [the work of the spirit]
a) 창조영역에서 성령의 사역담당을 한 성경적 근거는?
b) 구원영역에서 성령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준비하시는 성경적 근거는?
4) 성부, 성자, 성령의 관계
5) 삼위의 하나님
a) 성령께서 구약과 신약에 나타난 성경적 중요성
b) 성령께서 화해와 용서의 확신을 주심
c) 압제받는 자에게 용기로서 희망을
d) 사망에서 새 생명을 회복하는 희망과 구원
e) 정의를 위한 사명과 능력을 주시는 하나님
f) 성자와 성령과 항상 함께 하시는 성부 하나님
g) 죄의 그늘에서 자유케 하시는 성령 하나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