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글) 박울보
인물 상세 정보경기 이천 북중 · 고 졸업
시집 『노랫말싯구』(2023년) 지음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면도유희(수염깎기)
아침을 열고 거울에 들어간다
면도기 손에 쥐고 조준한다
검은 기 빠진 난잡한 수염을
둘레치기 해서 눈뭉치 만다
가운데 파서 기둥 하나 남겨
감격의 소리 “오”자 조각해서
오 상쾌한 아침을 맞이한다
아랫입술 다듬고 깎아내서
음메 송아지 “소”자 변신시켜
아침을 달라고 노래 부른다
다시 알파별문양 “”을 만들어
오늘도 빛나게 살자 외치며
마침내 코털도 다 거둬내고
반짝이 얼굴에 미소 짓는다
5 말 놀이
10 헤아려 주기(주례사)
11 텃밭에서(애칭)
12 눈물 속엔(일희일비)
13 첫눈에 반했지(불멸의 사랑)
14 맨발 걷기(땅을 밟자)
15 새길(자연은 아프다)
16 가을산책(가을이 가네)
17 풍경 뭐야(첫눈이 버겁다)
18 아이 언어(아동문학)
19 큰 애기들(내가 졌다)
20 사는 재미(힘도 들고 나지)
21 빈 놀이터(새들 쉼터)
22 고양이 마을(도시의 자연)
23 둥지 수호(생사를 건다)
24 여심(냥이도 알지)
25 생일 소원(용돈을 주랴)
26 상생(주고받기)
27 소나기(오보 체험)
28 착시(미끼)
29 늙어도(추워도)
30 애기소리(그냥 웃자)
31 세상에나(추태)
32 이심전심(알고 싶어라)
33 노후생각(억척빼기)
34 사랑 찾기(보고파라)
35 사랑은 하나(합주)
36 팬심(열애)
37 환심 사기(너만 보여)
38 홀로 사랑(편련)
39 사랑 잊지 마(느낌 알잖아)
40 꺼벙이 청춘(사랑 떠났네)
41 사랑 상처(사랑은 불이야)
42 동심으로(실록으로)
43 새욕장(바가지 샘)
44 햇빛달빛(소중한 빛)
45 하늘의 조화(변덕부리지)
46 내맘네맘(삶의 가치)
47 뱃놀이(우정 쌓기)
48 손편지(일대기)
49 술 약속(우정도 늙지)
50 노안일까(젊은 할매)
51 가보(불멸의 혼)
52 감주인(까치밥)
53 희화화(중년 미팅)
54 초고령사회(돈 따르지)
55 고주망태(망각의 샘)
56 철부지들(엄마라 참는다)
57 선물일까(짐일까)
58 말일(봄이 가네)
59 통통배(만찬)
60 제 새끼(판박이)
61 뒤안길(내리막)
62 사랑바람(항상 불지)
63 벽꽂이(박제장미)
64 빨간 사랑(꿈결 사랑)
65 사랑주(사랑도취)
66 초봄 새터(봄이 오네)
67 아이려니(참고 견디자)
68 참사랑(참아라 아가야)
69 낯가림(울먹이 뚝)
70 말벗(단짝패)
71 번개모임(불참댓가)
72 가을 오네(모임하자)
73 무위도식(노후일자리)
74 고향언어(말버릇)
75 내가 한 짓(바보 맞아)
76 내 고향(읍이 셋)
77 하늘아(하늘이시여)
78 홀로 외침(미운 메아리)
79 비움(연심털기)
80 미운사랑(불장난)
81 별리(몌별)
82 형제애(상호작용)
83 우스갯소리(농담)
84 거울효과(잉꼬사랑)
85 김장철(봐야 배우지)
86 동상이몽(해바라기)
87 너만 바라봐(넌 모를 테지)
88 정신 차려(화내지 마)
89 녹초(불씨)
90 계절타기(봄은 온다)
91 열대야(파란불)
92 꿀잠(보약이지)
93 소망(긴 꿈)
94 자기 수련(나를 지키자)
95 천성(습관)
96 한끗차이(인생은 빼기)
97 바른생활(심신안정)
98 봄 그리기(수채화)
99 이상한 여름(꿀도 바뀌지)
100 조석(해와 달)
101 새해 아침(밝은 해)
102 산타기(술도 한잔)
103 야간경기(시원하네)
104 은퇴적기(연세 입문)
105 여배 열기(리듬 타기)
106 지각(학교는 가야지)
107 부부싸움(이겨도 진다)
108 저출생(만혼 후폭풍)
109 남자란(여자가 안다)
110 어쩌나(혼돈)
111 장마기록(다시 쓸까)
112 한강님(위인 되다)
113 갈아타기(환생)
114 장발(변신)
115 면도유희(수염깎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