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문… 2
1. 구속… 9
크로: 행성 도착
뇌: 진화와 철학
나누리틀: 철학 틀
철학사: 면담과 몰입감
2. 영웅 닮은 신… 20
동물: 원초적 진선미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직립 능력
호모 하빌리스: 자유로운 손
호모 에렉투스: 불의 사용
호모 사피엔스: 생각하는 인간
정착 생활: 음성 언어
이집트 문명: 기하 태동
메소포타미아 문명: 문자 언어
에게 문명: 단순미
길가메시: 영생과 죽음
아브라함: 부족의 이동
함무라비 법전: 기울어진 법
브라만과 우파니샤드: 불평등과 윤회와 해탈
아크나톤: 유일신
페니키아: 표음 문자
조로아스터: 선천적 선악
유대사상: 후천적 선악
그리스 신화: 신과 영웅
호메로스: 명예와 죽음
3. 신화 탈출… 40
솔론, 클레이스테네스: 민주 정치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사물의 본질
피타고라스: 숫자로 보는 세상
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변화와 불변
엠페도클레스: 모순 봉합
아낙사고라스: 변화의 힘은 정신
데모크리토스: 본질은 원자, 변화는 운동
석가: 무아
공자, 맹자: 인과 덕
페리클레스: 민주 정치 허와 실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인간은 만물의 척도
소크라테스: 개념과 언행일치
플라톤: 천상의 이데아와 지상의 짝퉁
디오게네스: 개념은 개소리
아리스토텔레스: 부동의 원동자
피론: 결정을 미루다
알렉산더: 헬레니즘
에피쿠로스: 세상은 우연
스토아 학파: 세상은 필연
키케로: 공화정과 보수
4. 영적 지식의 시대… 73
필론: 유대교와 그리스 사상의 융합
바울: 기독교 사도
용수: 중도(中道)
오리게네스: 인정받지 못한 교부
플로티노스: 신플라톤주의
마니: 영지주의
암브로시우스, 히에로니무스: 교부 신학
테오도시우스: 기독교 국교화
아우구스티누스: 신의 조명론
히파티아: 독단의 광기에 희생
찬다라굽타 2세:
힌두교 태동과 불교의 쇠퇴
보이티우스:
최후의 고대철학자, 최초의 중세철학자
유스티니아누스: 로마 고토 회복
위 디오니시우스: 속이는 권위
베네딕투스: 수도원 설립
그레고리우스: 교황체계 수립
무함마드: 이슬람
레오 3세: 성상파괴 운동
5. 신국 완성을 앞두고… 104
카롤대제: 카롤링거 르네상스
하룬 알 라시드: 이슬람의 르네상스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 박제된 천상
오토 대제: 세속 권력 강화
이븐시나: 일자는 부동의 원동자
안셀무스: 존재론적 신 증명
우르바누스 2세: 십자군 전쟁
로스켈리누스: 유명론
아벨라르: 온건 실재론
아베로에스, 마이모니데스:
이슬람과 유대교의 스콜라 철학
주희: 이기론의 운명
칭기즈칸: 실크로드의 흙먼지
알베르투스: 이슬람 철학 수용
토마스 아퀴나스: 지성의 신학
에크하르트: 언어의 침묵
단테: 신을 빙자한 인본주의
둔스 스코투스: 주의주의
오컴 윌리엄: 이성과 계시의 분리
6. 이탈리아와 연금술… 133
보카치오: 보통 사람
코시모 메디치: 갈등 해소는 예술로
쿠자누스: 무한 반복을 통한 대립 극복
콜럼버스: 공간 개혁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비례에서 신의 발견
에라스무스, 토마스 모어:
바보처럼 살았군요
마키아벨리: 현실 정치
코페르니쿠스: 천지개벽
루터: 종교 개혁
로욜라: 가톨릭 개혁
파라켈수스: 의술 개혁
이황: 사단칠정 원천
칼뱅: 개신교 정립
텔레시오: 변화의 원인으로 목적인 제거
몽테뉴: 자기의 발견
조르다노 브루노: 무한 우주
7. 영국과 잠자는 이성 깨우기… 153
베이컨: 경험주의
갈릴레오: 지동설 관측
케플러: 신과 무관한 천제운동 발견
야콥 뵈메: 연금술로 형상의 합성
그로티우스: 자연법을 따른 국제법
홉스: 계약에 따른 국가
데카르트: 정신과 육체의 분리
파스칼: 생각하는 갈대
스피노자: 진인사 대천명
로크: 자연법과 인식의 과정
뉴턴: 자연법칙을 통해 신을 사유
라이프니츠: 모나드라는 정신적 실체
비코: 자연 대신 사회
버클리: 극단의 관념론
8. 프랑스와 잠자는 시민 깨우기… 179
몽테스키외: 삼권분립
볼테르: 앙시앵 레짐 풍자와 관용
린네: 낫과 기역 자
라메트리: 인간도 기계
흄: 표정만이 경험
루소: 자유와 평등
디드로: 생명의 자연 발생
바움가르텐: 미학
애담 스미스: 보이지 않는 손과 자유무역
칸트: 경험과 이성의 통합
홍대용: 근대 사상을 알림
9. 독일과 결정론적 인식… 199
헤르더: 이성 앞에 떠는 감성
괴테, 바이런: 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
벤담: 공리주의
생시몽: 공상적 사회주의자
피히테: 활동하는 자아
돌턴: 원자론
훔볼트: 선험적 언어
슐라이어마허: 자유주의 신학
셸링: 동일 철학
헤겔: 정신 변증법
쇼펜하우어: 철학계의 라마르크
콩트: 실증주의와 사회
포이에르바하: 신학 대신 인간학
토크빌: 소수자와 결사의 자유
밀: 표현의 자유와 질적 공리주의
10. 환원과 저항… 222
다윈: 진화론
키에르케고르: 절망의 철학
마르크스: 혁명의 철학
스펜서: 사회진화론
분트: 정신의 작동 기제
딜타이: 내적 체험에 기반한 정신과학
에른스트 마흐: 관찰과 이론
퍼스: 기호와 도면
윌리엄 제임스: 실용주의 철학
니체: 적자생존의 철학자
11. 복합체와 정신의 창발… 240
볼츠만: 비가역성
프레게: 기호 논리학
푸앙카레: 예측 불가
프로이트: 먹는 인간 싸는 인류
소쉬르: 구조주의 언어학
뒤르켐: 창발된 사회
존 듀이: 지식은 도구
베르그송: 시간의 지속
후설: 현상학
화이트헤드: 유기체 철학
조지 산타야나: 아름다운 세상
막스 베버: 윤리가 사회 변혁의 원동력
크로체: 삶은 예술
드리슈: 생기론
레닌: 변증법적 유물론
버트런트 러셀: 행동하는 지식인
12. 세계대전과 양자 정신… 266
카시러: 상징으로 세상을 해석하는 인간
막스 셸러: 철학적 인간학
부버: 관계를 통한 실존
아인슈타인: 상대성 이론
신채호: 아와 비아의 투쟁
하르트만: 비판적 존재론
야스퍼스: 실존자는 신의 자녀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 대중 비판
바슐라르: 불타는 정신
루카치: 관념론적 마르크스
블로흐: 마르크스식 희망철학
가브리엘 마르셀: 나그네 철학
비트겐슈타인: 언어의 기능
하이데거: 내가 부동의 원동자
13. 전체주의 비판과 진단… 287
그람시: 헤게모니 혁명이론
카르납: 언어 분석을 통한 철학
벤야민: 콜라주 철학
호르크하이머: 비판이론
야콥슨: 자연 언어 분석
마르쿠제: 사육된 인간에게 고함
하이에크: 계획경제 불가능론
에리히 프롬: 국가에 위임한 삶
가다머: DNA가 다른 인간
라캉: 자신 이해 불가
파슨스: 창발된 조직에서 힘의 규격화
포퍼: 반증 가능성
요나스: 환경론자
아도르노: 대중문화 비평
사르트르: 실존이 본질을 앞선다
레비나스: 타인의 얼굴
한나 아렌트: 공적 활동
14. 거대 담론 허물기… 311
괴델: 불완전성의 정리
콰인: 탄 뗏목을 고친다
메를로 퐁티: 몸부림을 통한 저항
레비 스트로스: 서양 문명의 우위 비판
보부아르: 제2의 성
벌린: 자유를 빙자한 간섭
에이어: 사라질 진리
오스틴: 말은 진리 이상
리쾨르: 비판과 확신의 해석학
바르트: 취소선의 철학
프리고진: 혼돈에서 질서
알튀세르: 중층결정론
롤스: 정의로운 분배
고프먼: 가면을 쓴 행위자
쿤: 패러다임 전환
15. 진리의 길과 정의의 길… 330
시몽동: 개체화의 원리
리오타르: 진리는 정의와 결합 불가
들뢰즈: 욕망은 결핍이 아니라 근본 힘
푸코: 소수자의 권리
퍼트남: 양자 철학
루만: 체계 이론
부르디외: 금수저 흙수저
데리다: 대립 개념 해체
리처드 로티: 표상주의에 시비
로버트 노직: 자유지상주의
솔 크립키: 선험성과 필연성의 구분
16. 탈 구속… 348
진리와 정의는 끝없는 환원과 창발
철학 요건의 점검
귀환
인물색인… 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