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어린이 사랑방 재량한자의 특징
1. 사랑방 재량한자는 초등학교 재량활동 시간에 학습할 수 있도록 엮었습니다.
아동 스스로 학습할 수 있고, 한자 지도 경험이 없는 담임선생님께서도 쉽게 지도하실 수 있으며, 학원
한문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엮었습니다.
2. 사랑방 재량한자는 누구나 쉽게 한자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문자 학습의 일반적인 원리와
학습과정을 적용하여 창안하였습니다.
먼저 한글 문장에 한자의 한글 표현 → 한자의 모양 익히기 → 한자의 발음 익히기 → 한자의 뜻(훈)
알아보기 → 한자 익히기 → 한자의 낱말 해석 능력 기르기 → 일반화하기 과정을 밟으면서 한자를 쉽고
자연스럽게 한글학습의 한 방법으로 접근시켰습니다.
3.사랑방 재량한자는 아동의 한자학습에 재미있는 이야기를 접목하였습니다.
이야기를 통해 학습에 관심을 높이고, 인지 및 기억, 생활에의 적용력을 높이도록 구성하였습니다.
4.사랑방 재량한자는 한문교육의 본래 기능인 우리 고유의 인성교육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전통적인 윤리도덕의 핵심인 효도를 강조하였고, 형제간의 우애, 친구 사귀기, 선생님에 대한 예절,
사회생활의 예절, 올바른 마음가짐과 몸가짐, 성현의 가르침, 사자성어 교훈 등의 예문을 통해 아동
들의 바람직한 인성교육이 되도록 힘을 기울였습니다.
목차
[제1부] 옛날에는
01. 새 학년
02. 가족 (家族)
03. 한자 공부를 하는 까닭
04. 옛날 사람들의 공부 (工夫)
05. 옛날의 학교 (學校)
06. 효도 (孝道)
07. 효도 (孝道) 이야기
08. 김만수의 효도 (孝道) 이야기
09. 금산의 효자 (孝子) 이야기
10. 옛날 사람들의 부모님 섬기기-四字小學 1
11. 옛날 사람들의 부모님 섬기기-四字小學 2
12. 옛날 사람들의 부모님 섬기기-四字小學 3
13. 옛날 사람들의 부모님 섬기기-四字小學 4
14. 옛날 사람들의 부모님 섬기기-四字小學 5
15. 옛날 사람들의 부모님 섬기기-四字小學 6
16. 옛날 사람들의 형제애-四字小學 7
17. 옛날 사람들의 형제애-四字小學 8
18. 옛날 사람들의 형제애-四字小學 9
19. 금(金)보다 귀(貴)한 형제간의 우애
20. 先生님의 恩惠-四字小學 10
21. 사회생활 (社會生活)-四字小學 11
22. 친구 사귀기-四字小學 12
23. 친구 사귀기-四字小學 13
[제2부] 한자를 한글로 풀어쓰기
01. 삼강오륜 1-四字小學 14
02. 삼강오륜 2-四字小學 15
03. 몸가짐 1-四字小學 16
04. 몸가짐 2-四字小學 17
05. 몸가짐 3-四字小學 18
06. 바른 생각 1-四字小學 19
07. 바른 생각 2-四字小學 20
08. 바른 생각 3-四字小學 21
09. 바른 생각 4-四字小學 22
[제3부] 성현의 말씀
01. 성현의 가르침 1-명심보감
02. 성현의 가르침 2-명심보감
03. 성현의 가르침 3-명심보감
04. 성현의 가르침 4-명심보감
05. 성현의 가르침 5-명심보감 (공부)
06. 성현의 가르침 6-명심보감 (공부)
07. 성현의 가르침 7-명심보감 (인내)
08. 성현의 가르침 8-명심보감 (인내)
09. 성현의 가르침 9-명심보감 (착함)
10. 성현의 가르침 10-명심보감 (친구 사귀기)
[제4부] 사자성어
01. 관포지교 (管鮑之交) 이야기
02. 새옹지마 (塞翁之馬) 이야기
03. 삼고초려 (三顧草廬) 이야기
04. 어부지리 (漁父之利) 이야기
05. 맹모단기 (孟母斷機) 이야기
06. 양상군자 (梁上君子) 이야기
07. 양약고어구 (良藥苦於口) 이야기
08. 우공이산 (愚公移山) 이야기
09. 전화위복 (轉禍爲福) 이야기
10. 추기급인 (推己及人) 이야기
11. 파죽지세 (破竹之勢) 이야기
12. 한단지몽 (邯鄲之夢) 이야기
13. 형설지공 (螢雪之功) 이야기
14. 호접지몽 (蝴蝶之夢) 이야기
15. 화룡점정 (畵龍點睛) 이야기
16. 화씨지벽 (和氏之壁) 이야기
17. 과유불급 (過猶不及) 이야기
18. 구우일모 (九牛一毛) 이야기
19. 수주대토 (守柱待兎) 이야기
20. 수청무어 (水淸無魚)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