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글) 나형석
인물 상세 정보감리교신학대학교(B.Th.)
Candler School of Theology(M.Div.), Emory Univ.
Liturgical Studies(Ph.D.), Drew Univ.
현 협성대학교신학대학 설교와 예배 교수
전 한국실천신학회 회장
전 예배학회 회장
현 은평감리교회(서울연회) 소속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메도디스트 운동은 시종 복음적
리바이벌리즘(evangelical revivalism)이면서 동시에
사크라멘탈 리바이벌리즘(sacramental revivalism)이었다.
설교와 성찬은 서로를 강화시키고 살리는 관계이었다.
본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역사적 신앙공동체로서 감리회 나름의 고유한 예배 경험이 있다면 무엇일까?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웨슬리가 1784년 북미 대륙의 감리교도들을 위해 작성해 보낸 예배서『북아메리카 메도디스트 주일예배서』에 수록된 주일성찬예배문을 살펴보게 되었다. 이 예배서를 택한 이유는 이 텍스트가 감리회 예배의 역사적 프로토타입으로서 그 안에 웨슬리 당대 감리회 부흥운동의 예배 정신 혹은 아이디어가 각인되어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늘의 질문에 답 혹은 어떤 방향을 얻기 위해 본서는 이 역사적 문헌과의 일면 어수선하고 통제되지 않은 대화를 시도한다.
서문
Part I. 『주일예배서』 주일예배문의 구조
제1장 『주일예배서』 주일예배문과 배경
제2장 주일예배문 구조: 십계명과 설교의 예배적 기능
제3장 주일예배문 구조: 성찬의 예배적 기능
Part II. 분급초대사
제4장 성서일과 설교 본문을 자료로 한 분급초대사
제5장 웨슬리의 『성만찬찬송시』를 자료로 한 분급초대사
Part III. 미국과 영국의 현대 감리회 성찬기도문들
제6장 미연합감리회 성찬기도문
제7장 영국감리회 성찬기도문
[부록]
헌금(봉헌)과 성찬의 희생적 차원 간 의미충돌 문제에 대한 웨슬리적 해결안 제안:
『기독교대한감리회 새예배서』의 주일성찬예문을 사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