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쏠림의 세계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서도 완전시장을 이룩한다고 하지만 불확실성을 키워 놓은 금융시장에서의 균형을 기존의 합리적인 이론이나 균형이론만으로는 설명을 기대하기 힘들다. 시장 흐름을 이끄는 무게중심이 시장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숫자나 이들의 거래 비중에서 금융공학에 의한 새로운 상품의 활용으로 이동한다. 여기에 더하여 엄청난 양의 자료처리와 빠른 계산속도의 컴퓨터까지 가세하여 신종 금융상품 장르 아래 금융거래의 회전속도가 빠르게 가세하여 만들어내는 것이 거품이다. 문제는 이렇게 숫자가 변형되어 부풀려 형성된 결과인 거품(bubble)의 양과 질에 대하여 사실상 분석이 불가능하다.
ː 쏠린행동을 물리학·생태학·문학·역사와 사회현상에 의한 접근으로 쏠림현상의 분석을 시도
ː 창조는 영감과 도전 그리고 지금 너의 불타는 눈빛에 의해서 시현된다.
목차
목차
머리말
제1편 쏠림
1. 쏠림현상
1) 쏠림의 세계
2) ‘군집’과 ‘쏠림’의 사전적 의미
3) 쏠림의 정의
4) 군집현상과 쏠림현상의 차이점
5) 쏠림과 대칭
6) 순환과정(자연이치)
7) 사전통제(전파확산)의 어려움
8) 조정자(정부 당국)의 역할
9) 쏠림의 생성
2. 쏠림원인
1) 쏠림의 세계
2) 쏠림 원인
3. 쏠림현상의 발생유형
1) 생성과정별 쏠림현상 유형
2) 쏠린 세상사
3) 쏠림의 뮤지컬
4) 쏠림 방지 자구책 - 열대 우림지방 나무들
4. 쏠림의 전개
1) 쏠림의 태동
2) 쏠림의 진행
3) 쏠림현상에 참가자(단계/소비자) 유형
4) 금융위기의 발생요인
5) 쏠림의 흐름
6) 쏠림이 있는 곳에 함정
5. 쏠림에서 버블
1) 거품형 쏠림현상과 허약체질
2) 쏠림현상의 빠른 전이(轉移)구조 - 세계화
3) 붕괴(crash)의 역사
4) 언어의 왜곡에 의한 쏠림 - 실언(失言) - 정체성의 파괴
5) 전문가 집단의 거짓말 버릇
6. 뉴턴 이야기
1) 쏠림현상에 대한 H/W 부문
2) 솜방망이
7. 쏠림 예방
1) 쏠림 예방대책
2) 쏠림현상의 생존이유
3) 쏠림병(病) 예방과 치료
4) 위험에 대한 대처 요령
5) 감독기관과의 관계 정립
6 )남발되는 표현 제재
8. 행동 주체로서 우리의 중심
1) 홀로서기 대명사: 수수밭, 갈대숲
2) 비대칭에서 대칭을 추구 - 대칭(對稱)의 아름다움
3) 비대칭 - 쏠림의 동인
쏠림 편을 마치면서
제2편 버블(Bubble; 거품)
1. 버블의 정의
1) 버블의 분류
2) 쏠림 - 영혼 -거품
3) 영정중월(詠井中月)?
4) 솜사탕
2. 버블의 역사와 배경
1) 버블의 대명사
2) 남해회사(South Sea Company) 버블
3) 미시시피 버블
3. 쏠림과 버블의 관계
1) 버블(거품)의 형성
2) 자연계에서 거품 생성
3) 거품(버블) 현상
4) 거품의 행동과 반향
4. 펜과 종이로 만든 버블의 생성
1) 군중심리(群衆心理)
2) 군중심리의 집단적 행동에의 영향
3) 길바닥으로 쏠리는 과정
4) 제도적 쏠림과 군중심리 유발
5) 지나간 열기의 대부분은 해외로부터 불씨
5. 모방의 악순환과정
1) 전이(轉移): 해외 시행착오 답습
2) 쏠림 없는 굳건한 자리 지킴이
3) 쏠림에서의 회생(回生)
6. 버블(거품) 붕괴 사례
1) 붕괴의 서막 - 세계금융위기 사례 중심
2) 인위적 붕괴 서곡 = 위력:[붕괴]ⁿ
3) 단상
4) 위기예측 능력
7. 쏠림에서 버블에 깨진 조각들
1) 쏠린 행동 관련용어
2) 사자성어와 인지심리학의 연결
제3편 균형이론(대칭적 접근)
1. 균형(윤리) 경영의 출발
1) 균형경영(윤리) 추진
2) 균형 경영/윤리 경영의 목적
3) 윤리와 도덕
4) 윤리경영 추진 현황
5) 이해관계 상충(相衝) 즉 이익의 충돌(衝突) 부문
6) 윤리경영 추진
2. 균형의식(윤리) 교육
1) 윤리교육 과정
2) 윤리조직의 효율적인 추진
3) 형식적 윤리교육(실적주의) 문제
4) 집단적 쏠림의(무의식, 윤리적) 원인과 현상
5) 쏠림방지를 위한 윤리적 해결 <교육의 근본방향 원칙>
3. 실천적 윤리와 방법
1) 실천의지(實踐意志)
2) 윤리 실천배경
3) 연꽃 세계와 특성
4) 이해상충의 문제
4. 왜 윤리인가
1) 현재의 위상 확인
2) 사회현상의 변화 추세
3) 정책이란
4) 쏠릴 추세에 적극 대처하는 방법
5) 너무나도 살기 힘든 세상 - 관계해야 할 대상이 너무 많은 윤리영역
6) 우리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윤리
7) 고리타분하고 없어도 사는 데 불편함이 없는 윤리
8) 위기의 원인과 치유방안(What really caused the financial crisis?)
9) ‘기생문화’가 윤리에 미치는 효과
10) 문학(삶, 환경)적인 윤리 접근
5. 윤리구성의 기본적 속성(윤리가이드)
1) 윤리가이드
2) 직업윤리의 필요성
6. 윤리 영역
1) 송무백열(松茂栢悅)
2) 윤리경영 만드는 내부 실무절차
3) 소득의 양극화
4) 덩굴식물의 관리
7. 누구를 위한 윤리인가
1) 생활 속의 윤리
2) 윤리의 실천방법
3) 쏠림과 질병
4) 생활 속에서 배우는 윤리공부 원. 투.. 쓰리...
8. 윤리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현실
1) 들쭉날쭉
2) 통합 국민윤리의 함양이 필요한 시기
3) 행동으로 터득하기
4) 표리부동(表裏不同)
5) 덫(올무)이 보인다, 종말(終末)
맺음말
- 마치기 전에 반성하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