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편하게 출판 문의 등록하기!📌

저자님들이 자주 묻는 질문을 확인해보세요
좋은땅
  • 로그인 아이콘
  • 로그인하고 도서 제작해 보세요!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 센터 아이콘

    고객 센터

  • 책 소개 아이콘

    책 소개

  • 화제의 책 아이콘

    화제의 책

  • 수상 도서 아이콘

    수상 도서

  • 저자 인터뷰 아이콘

    저자 인터뷰

  • 회사 소개 아이콘

    회사 소개

나의 도서 관리
  • 공지 사항
  • [공지] 2023년 종합소득신고용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안내 (2022년도 귀속분)
좋은땅 도서 이야기
  • 책 소개
  • 출판 이야기
  • 요즘 트렌드
저자들의 생생한 이야기
  • 저자들의 이야기
  • 좋은땅 TV
좋은땅 가이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회사 소개
  • 고객센터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제휴문의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지월드빌딩 (서교동 395-7)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저자님,

5,478번째

도서 제작에 도전해보세요!

황정연 저자
좋은 작가를 가꾸는 좋은 농부들이 있는 곳

황정연 저자

고경선 저자
내 책은 내가 만든다—출판계의 ‘스튜디오 드래곤’ 느낌의 자비출판 명당

고경선 저자

정동재 저자
저자의 마음을 읽어내는 능력과 진정성으로 무장하고 진중한 미인드로 최선을 다해주는 , 몇번이든 함께하고 싶은 출판사.

정동재 저자

현진호 저자
저자의 마음을 읽어주는 곳

현진호 저자

김정식 저자
출판 비용이 알맞고 홍보 디자인 편집력이 우수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또한 관계자 분들이 친절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김정식 저자

이동문 저자
작가라는 미지의 영역에서 꿈을 이룰 수 있는 교두보가 되는 좋은 땅

이동문 저자

도서 제작에 대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좋은땅 출판사의 출판 시스템이 궁금하다면?

좋은땅
좋은땅

로그인 정보를 잊으셨나요?

아직 좋은땅 계정이 없나요?

회원가입

책 소개

좋은땅

함께 "좋은 책"을 만들어 갑니다.

  • 공지사항
  • 고객센터
  • 로그인
  • 회원가입
  • 책 소개
  • 요즘 트렌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후기
  • 좋은땅 TV
  • 더보기
출판 상담하기
닫기 아이콘
  • 책 소개 
  • 이달의 신간
  • 베스트셀러
  • 스테디셀러
  • 분야별 도서
  • 수상 및 선정 도서
  • 출판 이야기 
  • 화제의 책
  • 출간 전 연재
  • 북카드
  • 칼럼G
  • 좋은땅 사람들
  • 요즘 트렌드 
  • 트렌드 인사이트
  • 온라인 서점 베스트
  • 매장 진열
  • 언론 소개
  • 저자들의 이야기 
  • 저자 인터뷰
  • 함께 한 저자
  • 출판 후기
  • 좋은땅 TV 
  • 책 소개 영상
  • 후기 인터뷰
  • 좋은땅 쇼츠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 과정
  • 서점 유통
  • 판매 인세
  • 마케팅 프로그램
  • 유통 대행
  • 회사 소개 
  • 좋은 문화
  • 연혁
  • 좋은땅 공간
  • 고객 센터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자료실
  • 이벤트
출판에 대한 고민들 | 좋은땅과 함께라면 안심하실 수 있습니다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센터 아이콘

    고객센터

책 소개 > 역사 다시 쓰는 징비록

다시 쓰는 징비록 조명일 삼국전쟁: 임진왜란
  • 이승화
  • 좋은땅
  • 2019년 06월 10일
공유하기
역사

다시 쓰는 징비록

조명일 삼국전쟁: 임진왜란

  • 이승화
  • 좋은땅
  • 2019년 06월 10일

도서 기본 정보

  • 분야
  • 면수
  • 판형
  • 제본
  • ISBN
  • 전자책
  • 가격
  • 역사
  • 636쪽
  • 152mm X 225mm
  • 무선
  • 9791164353842
  • 있음
  • 22,000원

도서 판매처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영풍문고
  • 인터파크 도서
이 책과 관련된 게시글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임진왜란은 조선만의 전쟁이 아니었다
430여 년 전 동북아시아의 세 나라가 자국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한반도에서 충돌한 이 사건은 시대에 따라 주역들만 달리할 뿐
역사의 수레바퀴를 돌며 현재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새로운 시대의 순환 속에서 우리가 살아갈 길을 역사에서 찾아
보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책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지난 역사의 오욕 앞에 자성(自省)과 자주자강(自主自强)이 가지는
의미를 징비의 뜻에 담는다.

목차

징비록을 다시 쓰다 4
임진왜란이란 통상적 명칭에 대하여 9
목차 11
전쟁 전 조명일의 삼국 상황 20
조명일 삼국 상황 비교 23
1) 인구 23
2) 군사제도 26
3) 재정 및 경제력 39
4) 삼국의 참전 병력 수 42
5) 자국 내 정치·사회·경제적 상황 49
6) 삼국의 국제 환경과 대외정책 52
조명일 삼국전쟁에 대한 각국의 대내외 입장 및 대처 62
1) 일본 63
2) 조선 74
3) 명 78
전쟁의 발발과 개전 초 사항 86
일본군의 상륙과 경상도 전투 88
1) 일본군과의 전투 및 패전 상황 88
2) 조선군 패전의 원인 91
충주 전투(탄금대 전투) 113
1) 조선 조정의 상황 대처 114
2) 전투 상황과 이견에 대하여 논하다 116
3) 전투 결과 126
선조의 파천과 한성 함락 127
1) 패전 소식과 한성의 상황 127
2) 선조의 파천 128
3) 한성 함락 130
일본, 한성에서 방향을 잃다 131
1) 일본의 전략 수정 131
2) 일본의 결정적 패착 133
평양성 함락과 반격의 시작 135
연이은 패전과 평양성의 함락 136
1) 황해도 방어선이 무너지다 (임진강 전투) 136
2) 하삼도 근왕군이 흩어지다 (용인 전투) 138
3) 평양성마저 내어주다 (1차 평양성 전투) 141
고니시 유키나가, 선조를 추격하지 않다 143
조선 백성의 민심 이반과 일본의 선무공작 151
반격의 시작 156
1) 의병의 궐기와 항쟁 156
2) 의병 활동의 특징과 한계 161
수군, 조선을 살리다 163
1) 수군의 초전 승리 163
2) 일본 주력 수군의 섬멸과 승리 요인 (한산도 해전) 166
3) 일본 수군의 본영을 공격하다 175
진주성, 일본군의 숨통을 끊다 176
1) 후방의 생명선을 확보하라 176
2) 1차 진주성 전투의 전황 178
3) 1차 진주성 전투의 승리 요인 181
일본, 전쟁의 주도권을 상실하다 184
명의 참전과 평양성 탈환 189
명의 초기 대응 192
1) 조선의 전황 파악 및 명의 1차 파병 192
2) 심유경의 파견과 휴전 교섭 194
누르하치, 조선 파병을 타진하다 200
명의 참전과 평양성 탈환 205
1) 명의 대군이 도착하다 205
2) 4차 평양성 전투의 전황 208
벽제관 전투와 한성 탈환 213
벽제관 전투와 이후 상황 214
1) 일본군, 반격을 준비하다 214
2) 벽제관 전투, 일본군 결정적 승리를 하다 215
행주산성 전투와 대첩이란 평가에 대한 이견 219
명과 일본 모두 진퇴양난에 빠지다 225
1) 명군, 심각한 보급난에 빠지다 225
2) 명과 조선의 보급 수송체계와 문제점 227
3) 일본군의 인적 피해와 보급 상황 232
일본군의 철수와 한성 탈환 234
1) 명과 일본 간의 철수 협상과 한성 탈환 234
2) 한성 철수 협상에 대한 양국 간의 상반된 이해 237
3) 패퇴하는 일본군을 살려 보내다 240
삼국전쟁 최대의 비극, 2차 진주성 전투 251
일본, 진주성을 노리다. 252
1) 일본의 절묘한 책략에 당하다 252
2) 조선의 지원 요청과 명의 대처 257
3) 조선 조정과 일선 지휘관들의 대처 263
4) 2차 진주성 전투의 전황 275
5) 2차 진주성 전투의 의의 280
6) 진주성 함락의 원인 285
7) 패전 책임 논쟁에 대한 고찰 289
8) 2차 진주성 전투의 피해 규모를 논하다 294
휴전과 명군의 철군 298
휴전과 강화협상이 시작되다 299
1) 송응창과 심유경, 명과 조선을 기만하다 299
2) 선조, 한성 환도를 기피하다 303
3) 일본군, 경상도 남동해안을 점거하다 313
명·일본군의 철군과 유병 316
1) 명의 철군과 유병(留兵) 문제 316
2) 일본군의 철군과 왜성의 보급 상황 320
조선의 이야기 326
생지옥에 내팽겨진 민초의 삶 327
1) 시체로 뒤덮이고 인육이 횡행하는 조선 327
2) 수탈에 시달리는 민초 330
3) 조선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Noblesse Oblige) 332
4) 도적이 창궐하다 341
더러운 정치판이 벌어지다 346
1) 도적이 의병이 되고, 의병이 역적이 되다 346
2) 의병장 김덕령이 옥사하다 351
전쟁 재발에 대한 대비와 조선군의 위기 355
1) 조선의 전시 개혁과 실패 355
2) 조선군의 급격한 감소 363
3) 의병의 해산 366
4) 조선 수군, 전염병과 기아로 괴멸 직전에 몰리다. 370
5) 거제도 탈환 작전이 실패하다. 377
6) 이순신이 해임되다 383
강화협상의 결렬과 각국의 대응 394
1) 강화협상의 전말과 결렬 394
2) 황신, 일본의 상황을 조선에 알리다 399
3) 조선, 대책을 논의하다 408
4) 명군의 2차 파병 412
5) 일본군의 2차 침공 편제 413
6) 조선 수군이 일본군의 도해를 막지 못한 이유 414
무적함대, 조선 수군이 참패하다 423
1) 수군, 내분에 빠지다 423
2) 수군과 육군이 대립하다 427
3) 원균의 1차 출정, 안골포와 가덕도를 공격하다 432
4) 원균, 진퇴양난에 빠지다. 436
5) 일본군의 도해를 막지 못하고 괴멸되다 (칠천량 해전) 444
6) 칠천량 패전의 원인과 책임을 논하다 450
일본군, 전라도와 충청도를 공략하다. 462
1) 일본군이 전라도로 진격하다 462
2) 남원성 전투, 진주성의 참화가 재현되다 465
3) 선조, 또다시 파천을 준비하다 471
4) 명군, 북상하는 일본군과 교전하다. 478
5) 이순신, 조선 수군의 건재함을 알리다(명량 해전) 480
6) 갑자기 일본군이 북상을 멈추고 철군하다 486
조명연합군의 대반격이 실패로 끝나다 492
1) 가토 기요마사를 죽여라(1차 울산성 전투) 492
2) 명군의 추가파병이 이루어지다 506
3)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하다 508
4)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병사 소식과 선조의 파업 512
5) 사천에서 또다시 대패하다 514
6) 사로병진책이 실패하다 520
7년의 전쟁이 끝나다 528
1) 고니시 유키나가가 고립되다 528
2) 노량해전과 이순신의 전사 533
3) 이순신에 대한 시대별 평가와 군사적 공적을 논하다. 539
조선의 전후 상황 546
1) 명군의 유병 문제와 철군 546
2) 조선의 처참한 전쟁 피해 552
3) 또다시 버림받는 피로인 557
4) 누르하치의 여진 통일전쟁과 선조의 여진 토벌 564
5) 조선, 일본과 어쩔 수 없이 외교 관계를 맺다 569
조선의 전후 복구와 내부 개혁의 실패 572
1) 조선의 개혁요구가 터져 나오다 572
2) 전후 복구, 방향과 내용이 틀리다. 576
3) 조세개혁, 대동법 시행에만 100년이 걸리다 582
명과 일본, 만주의 전후 국제 상황 594
1) 후금(청)이 만주와 요동, 몽골을 통합하다 594
2) 명의 정국 불안과 농민반란, 멸망 599
3) 내전에 빠진 일본과 에도 막부의 성립 604

잡기(雜記) : 대중적 논쟁 건에 대한 기술 610
조명일 삼국전쟁은 조선이 승리한 전쟁인가 611
재조지은을 어떻게 볼 것인가 615
명군은 당나라 군대였나 620
조선의 힘만으로 전란 극복이 가능했을까 629

작가 정보
저자(글) 이승화
인물 상세 정보

다시 쓰는 징비록

같은 분야의 도서
더보기
장한결의 부도지 강의(개정판)
보다 더 알기 쉬운 유럽사 연대기(개정판)
머릿속에 박제하는 한국사
다시, 비상계엄
빅희스토리
삼국지 길라잡이
조선 멸망의 원인과 우리의 나아갈 길
암행어사 선정불망비
지리산은 절을 품고 절은 지리산을 담다
보다 심플한 유럽사 연대기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7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 공지사항
  • 개인정보취급방침
  • 앱다운로드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 좋은땅㈜ B1 ~ 5F ©G-WORLD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홈

검색

전체

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