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책 소개 > 아동/어린이/청소년 놀이와 교육의 메타의미
- 이현정
- 좋은땅
- 2021년 07월 31일
상세 이미지

책 소개
교육은 실천학문이다.
실천이 갖는 의미는
어떠한 이론보다 앞서며, 유일무이한 것으로,
그 자체로 반향을 불러일으킨다.
반향은 현시대에 드러나는 사건으로서
세계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나타나는 실천적 현상에 대한 이해는
이론보다 앞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실천이
그저 나타났다 사라지는 현상으로의
의미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현상이 갖는 의미를 ‘현시의 현시’를 통해
메타 의미화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는 실천이 갖는 의미가 주관적이길 넘어
공명할 수 있는 창안으로서
보편적인 의미를 갖기 위해서이다.
놀이와 교육에 대한 메타 의미화의 과정은
유아교육을 위한 새로운 시퀀스로서,
그 의미를 드러낼 것이다.
- 본문 중에서
목차
프롤로그 5
서문 11
1부 놀이와 교육, 이론의 장 15
1장 놀이와 교육의 이데올로기 16
1. 놀이의 이데올로기 22
수단화에서 이상화로 / 놀이의 의미화
2. 교육의 이데올로기 30
지식의 전달에서 앎의 과정으로 / 교육의 중심화
3. 유아교육에서의 놀이와 교육 이데올로기38
2장 놀이와 교육의 후기현대적 논의 46
1. 실존적 존재로의 놀이 47
2. 본질적 의미로의 교육 49
3장 유아 존재의미 58
1. 근대성을 통해 바라본 존재의미 64
이원론적인 이해 / 중심화된 이해
2. 탈근대성을 통해 바라본 존재의미 70
(미성숙한 존재가 아닌) 차연의 존재 / (환원될 수 없는) 예외적 존재
2부 놀이와 교육, 실천의 장 85
4장 놀이와 교육의 현시 86
1. 삶으로 나타남 90
2. 삶과의 마주침 97
3. 삶을 향한 조우 103
5장 놀이와 교육의 해체 115
1. 놀이의 탈의미화 118
타자의 시선으로부터 벗어남 / 의미 없는 실천
2. 교육의 탈구조화 129
지식의 미끄러짐 / 난제를 안고 사는 교사
삶으로부터의 이어짐과 연결됨
6장 놀이와 교육의 메타의미 150
1. 바디우의 메타의미화 155
바디우의 사상적 배경 / 메타의미화의 과정
2. 유아기 놀이와 교육의 메타의미화 164
놀이의 메타의미: 셈해질 수 없는 사건
교육의 메타의미: 사건에 대한 충실
7장 놀이와 교육의 방향성 탐색 176
1. 현시의 장소: 사건이 도래하는 장소인 유아들의 삶 177
2. 현시의 현시: 놀이와 교육의 메타의미 179
3. 나오며 185
부록 현상학적 해석학(질적연구방법에 대해) 191
찾아보기 224
참고문헌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