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글) 이주영
인물 상세 정보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행정학과졸
동대학원 행정학석사및 행정학박사
현재 송곡대학교 복지행정교수
현재 한국정책개발학회 등기이사겸부회장
현재 서울북부지방법원조정위원
현재 전국연안이씨대종회편집위원
전 서울특별시 부구청장 역임
전 86?88세계올림픽조직위원회기간요원
정부홍조근정훈장(대통령)수상
정부근정포장(대통령)수상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과거에 아무리 자신이 행복했다고 느껴졌어도 지금 이 순간에 행복을 느껴야 진정한 행복이다.
과거는 추억이기 때문에, 그게 곧 지금의 행복은 아니다. 만약 과거의 행복이 현재의 행복과 연결될 수 있다면 그것은 곧 더 큰 행복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우리와 생활세계 그리고 환경적 체계가 삼위일체가 되어 깊이 체험된 인식들이 무의식으로 잠재되어 무의식의 세계를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행복한 사람들은 모든 환경적 조건이 충족되고 자기 성취감을 가질 때,
행복은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비로소 마음으로 느껴지는 것이다.
-본문 中에서
머리말
제1장 인간의 삶
1절. 인간의 출현
2절. 인지의 발달
3절. 인간의 정체성
제2장 삶의 소통
1절. 생식(生殖)의 본능
2절. 지성적 삶
3절. 추구하는 이상
제3장 삶의 투쟁
1절. 생육(生肉)의 본능
2절. 경제와 국가의 제도화
3절. 삶의 소통과 투쟁의 산물
제4장 삶의 소통과 투쟁의 상호 조화
1절. 생활세계로부터 경제?국가 체계의 분리현상
2절. 생활세계와 분리된 경제?국가 체계의 밀접한 교류
3절. 법의 사회적 통합 기능
제5장 능력 있는 행복한 사회
1절. 국가개입주의
2절. 대중민주주의
3절. 복지국가 체계
4절. 후기 자본주의의 수정
5절. 사회통합과 행복
제6장 행복의 의식 척도 고양
1절. 인간의 욕구
2절. 행복의 인식능력 함양
3절. 행복한 자아의식행위
제7장 행복한 삶
1절. 불행의 요인
2절. 행복의 요인
3절. 자아실현과 행복
제8장 행복한 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