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상속세는 이제 중산층의 문제 008
상속은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 빠르게 확대되는 상속세 과
세 범위 │ 부동산 한 채만으로도 상속세가 부과되는 시대 │ 중산층
가계의 현금 부족 │ 상속 과정에서 나타난 세금 부담 │ 자산가치
상승 vs 공제제도 │ 상속세를 둘러싼 사회적 인식 변화 │ 상속세
를 둘러싼 제도적 개편 논의 │ 준비되지 않은 상속이 가져오는 결과
│ 상속세는 설계할 수 있는 세금이다 │ 상속은 피할 수 없지만, 대
비할 수 있다
1부 상속세 이론편
1 장 • 상속세 기초 024
1. 상속세의 본질 025
2. 우리나라 상속세 027
3. 유산취득세: 「상증법」 개정안 내용 030
4. 상속세 납세의무 033
5. 상속인의 범위와 상속순위 036
6. 상속포기와 한정승인 제도란? 040
2 장 • 상속세 세액계산 044
1. 상속세 과세 체계 및 기본 원리 045
2. 상속공제 제도 053
3. 상속세율 070
4. 세대생략 할증과세 072
3 장 • 상속재산 및 비과세 077
1. 상속재산의 범위와 총상속재산가액 078
2. 비과세 및 과세과액 불삽입 재산 099
3. 공과금·장례비용·채무의 공제 106
4. 사전증여재산의 가산 115
4 장 • 세액공제 및 신고, 납부 121
1. 세액공제 122
2. 가산세 130
3. 신고기한 및 제출서류 138
4. 상속세 납부 141
5 장 • 상속재산의 평가 146
1. 상속재산 평가의 원칙과 방법 147
2. 부동산의 평가 157
3. 주식에 대한 평가 163
4. 저당권 등이 설정된 재산의 평가 172
5. 기타 재산의 평가 176
2부 상속세 실전편
6 장 • 상속재산, 무엇이 과세되고 어떻게 평가되나 184
1. 부동산 평가와 과세 방식 185
2. 예금·주식 등 금융자산의 평가와 과세 방식 191
3. 보험금과 퇴직금의 과세 방식 196
4. 신탁 재산의 귀속 및 과세 시기 203
5. 가상자산·기타 무형자산의 과세 209
6. 고가 동산의 과세 기준과 유의사항 215
7. 누락된 상속재산의 과세 방식 222
8. 사망 직전 인출 자산의 과세 방식 228
9. 뒤늦게 발견된 상속재산, 신고와 대응 233
10. 공동·타인 명의 자산의 실질 판단 기준 238
11. 해외자산의 누락 리스크와 과세 방식 243
7 장 • 절세보다 중요한 ‘세무 리스크 관리’ 248
1. 사전증여재산의 상속세 합산 규정과 그 영향 249
2. 가족 공동명의의 세법상 함정과 세무 리스크 255
3. 명의신탁에 대한 과세와 리스크 관리 262
4. 공제 요건 착오로 인한 상속세 세무 리스크 269
5. 채무공제가 부인되는 사례와 리스크 관리 276
6. 고평가된 감정가의 문제와 세무 리스크 283
7. 유류분 반환과 상속세 과세 기준의 불일치 295
8 장 • 상속 설계의 핵심 전략 301
1. 증여, 상속세를 줄이는 첫 단추 302
2. 기초공제의 전략적 활용 313
3. 배우자공제, 가장 강력한 공제 319
4. 채무/공과금/장례비용 공제 활용 324
5. 금융재산공제의 활용 329
6. 동거주택 상속공제의 활용 334
7. 유언을 활용한 상속세 최적화 설계 340
8. 생전 자산 정비로 상속세 리스크 줄이기 346
맺는말 유산취득세 시대 - 바뀌는 상속세 제도를 읽다 352
상속세율 개편 논의와 공제 확대 논의 │ 일괄공제‧배우자공제 구조
재편 움직임 │ 공익법인 활용 관련 제도 정비 │ 가업상속 요건 완
화와 기업승계 활성화 │ 해외 사례를 통한 제도 비교 및 시사점 ―
조세 형평성과 부의 재분배 │ 전문가 전망 및 납세자 준비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