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글) 김정희
인물 상세 정보충남 아산 출생으로 서울장신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현재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측 목사로 서울장신대학교에서 출강하고 있으며 윤보선민주주의연구원 연구위원과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연구위원(종교분과), 한국시민문화학회 연구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는 공저로 《해방공간과 기독교 1》(도서출판 선인, 2017) 등이 있다.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우리나라에서 기독교가 민주주의의 구현을 위해 어떻게 노력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시련을 겪었고 그 시련을 어떻게 극복했던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기독교가 지향한 민주주의의 내용이 무엇이었냐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했기에 이 책은 학문적으로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많은 자료들을 참고하면서 논지를 분명히 전개했기에 설득력이 큰 것도 이 책의 장점들 가운데 하나다.
‘촛불 민주주의’ ‘직접 민주주의’가 논의되는 오늘날의 시점에서, 우리나라에서 민주주의는 어떤 길을 걸어왔는가, 그리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진지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새로운 논점을 제기하면서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다. 주저함이 없이 권독하고자 한다.
추천의 말 05
저자 서문 09
Ⅰ. 서언
1. 문제 제기와 목적 20
2. 선행연구와 연구의 방향 26
3. 연구 방법과 범위 38
4. 개요 44
Ⅱ. 기독교와 민족주의의 조우(遭遇)논리 ? 필연성의 문제
1. 한국 민족주의의 형성과 구분 48
2. 기독교와 민족주의의 조우(遭遇) 55
3. 기독교 민족주의의 사상적 특징 62
1) 기독교 민족주의 사상의 두 흐름 62
2)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69
Ⅲ. 윤보선의 기독교 민족주의
1. 윤보선의 역사적 계보 74
1) 정치적 계보 74
(1) 갑신개화파 74
(2) 기독교 민족주의 계보 79
(3) 한민당 계보 83
2) 사상적 계보 87
(1) 개화사상 87
(2) 신규식의 민족주의 93
(3) 기독교 민족주의 96
(4) 자유민주주의 99
(5) 기독교민주주의 101
2. 개화사상에서 민족주의로의 사상적 이행 105
1) 전통질서에 대한 거부 105
2) 신부적(神賦的) 인간론 118
3) 민족애(民族愛) 130
3. 민족주의에서 기독교 민족주의로 144
1) 영국 민주주의와 스코틀랜드 상식철학 144
(1) 영국 민주주의의 체득 144
(2) 스코틀랜드 상식철학 154
2) 윤보선의 기독교 민족주의 유형 166
(1)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166
(2) 기독교 민족주의 사상의 유형 175
Ⅳ. 윤보선의 기독교민주주의로의 이행과 그 내용
1. 기독교 민족주의에서 자유민주주의로 182
1) ‘민족주의’에서 ‘민주주의’로의 이행 182
2) 전체주의의 거부 189
(1) 이승만의 ‘일민주의’ 189
(2) 박정희의 ‘민족적 민주주의’와 ‘경제이데올로기’ 195
3) 무질서한 자유에 대한 거부 204
4) 윤보선의 자유민주주의 210
2. 자유민주주의에서 기독교민주주의로 - 기독교 신학과의 조우(遭遇) 217
1) 기독교 신학과의 조우(遭遇) 217
(1) 안동교회의 신앙과 신학 217
(2) 공덕귀의 신학 230
2) 한국 교회와의 조우(遭遇) 248
3. 윤보선의 기독교민주주의의 내용과 구조
1) 기독교민주주의의 특징과 사상적 위치 256
(1) 기독교민주주의의 위치 256
a. 기독교민주주의의 특징 256
b. 자유주의와 기독교민주주의 262
c. 사회민주주의와 기독교민주주의 265
(2) 기독교민주주의의 사상적 구조 268
2) 윤보선의 기독교민주주의의 내용 271
(1) 신학적 인간관(人間觀) 271
(2) 유한한 자유 278
(3) 공적정의(公的正義) 283
Ⅴ. 윤보선의 기독교민주주의의 차별성
1. 서유럽의 기독교민주주의와의 차별성 294
2. 1980년대 기독교민주주의 운동과의 차별성 300
Ⅵ. 책을 나가며
1. 요약 316
2. 제언 325
참고문헌 330
부록1 - 3·1절에 고함(1980년 3월 1일) 339
부록2 - 윤보선 대통령 연보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