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글) 권선경, 서종원, 홍대한
인물 상세 정보권선경 |성결대학교 교수
-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문학박사, 구비문학 전공)
서종원 |의정부문화원 상임연구원
-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졸업
(문학박사, 민속학 전공)
홍대한 |농림축산식품부 학예연구관
- ?단국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 졸업
(문학박사, 역사학 전공)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의정부의 발전 과정에서 지대한 영향을 준 요소는 앞서 언급한 한국전쟁과 함께 미군을 빼놓을 수가 없다. 물론 다른 내용도 있을 수 있겠지만 이 두 가지 키워드가 핵심이라는 점에는 많은 이들이 동감을 할 것이다. 다만 어느 누구도 이 부분을 강조해서 이야기하지 못하였다. 그 이유 가운데 하나는 두 가지 용어, 특히 미군이라는 단어가 지닌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이다. 오랫동안 다루지 못한 주제이긴 하나 의정부의 역사와 발전과정, 그리고 지역의 정체성과 긴밀하게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보면 보다 심도 있는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의정부와 관련된 주한 미군의 역사를 다룬 연구가 부족한 현실에서 이 부분을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산발적으로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진행할 수밖에 없는데, 여기에서는 여러 자료를 통해 의정부에 주둔한 미군의 역사를 추적해 보고자 한다.
(‘의정부 주둔 미군부대의 역사와 현황’ 중)
1부. 역사문화
1장 한국전쟁과 미군 주둔의 역사
1. 머리말 12
2. 한국전쟁과 미군 주둔의 역사 14
3. 휴전협정과 미군의 장기 주둔 24
4. 주한미군과 주둔지(공여지 문제) 32
5. 반환과 주둔군 문제의 방향성 43
2장 의정부 주둔 미군기지의 역사와 현황
1. 의정부와 한국전쟁, 그리고 미군 49
2. 의정부시 주둔 미군기지 현황 57
3. 의정부의 발전과 미군, 미군기지72
3장 의정부 미군기지촌의 실체와 미국문화
1. 기지촌의 개념과 역사 80
2. 의정부 기지촌의 역사와 전성기 시절의 모습 85
3. 의정부시의 대표적인 기지촌과 그곳의 실상 93
4. 의정부 기지촌의 미국문화 104
4장 의정부 주둔 미군기지 반환 과정과 활용방안
1. 주한 미군기지 반환에 따른 관련 법령의 실체 111
2. 의정부의 발전 과정에서 미군기지가 안긴 문제점 114
3. 의정부시 미군기지 반환 및 활용 현황 122
4. 국내외 미군기지 활용 사례 127
5. 의정부시 미반환 미군기지 활용방안 130
2부. 생활문화
1장 미군부대 속 사람들
1. 미군부대가 떠난 지금, 미군부대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는 이유 138
2. 미군부대 속 사람들-새로운 생업의 탄생 147
2장 미군부대 밖 사람들
1. 미군들을 상대로 장사했던 사람들 168
2. 미군부대의 물품을 융통해서 삶을 꾸렸던 사람들 189
3. 미군부대 마을 사람들을 상대로 먹고살았던 사람들 213
3장 미군부대 속 의정부
1. 미군의 두 얼굴, 그에 따른 서로 다른 기억과 인식 221
2. 원조의 도시, 한국 안의 작은 미국 233
3. 타 문화에 대한 유연함, 의정부는 제2의 고향 241
4. 지금의 나를 있게 한 의정부 244
5. 의정부, 그 고향의 보존과 개발의 상존에 대해서 247
4장 의정부 미군부대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