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편하게 출판 문의 등록하기!📌

저자님들이 자주 묻는 질문을 확인해보세요
좋은땅
  • 로그인 아이콘
  • 로그인하고 도서 제작해 보세요!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 센터 아이콘

    고객 센터

  • 책 소개 아이콘

    책 소개

  • 화제의 책 아이콘

    화제의 책

  • 수상 도서 아이콘

    수상 도서

  • 저자 인터뷰 아이콘

    저자 인터뷰

  • 회사 소개 아이콘

    회사 소개

나의 도서 관리
  • 공지 사항
  • [공지] 2023년 종합소득신고용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안내 (2022년도 귀속분)
좋은땅 도서 이야기
  • 책 소개
  • 책 이야기
  • 요즘 트렌드
저자들의 생생한 이야기
  • 저자들의 이야기
  • 좋은땅 TV
좋은땅 가이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회사 소개
  • 고객센터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제휴문의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지월드빌딩 (서교동 395-7)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저자님,

5,336번째

도서 제작에 도전해보세요!

박울보 저자
누구나 뜻한 바 충분히 배려 받고, 쉽고 편하게 소통할 수 있는 곳

박울보 저자

조용찬 저자
귀한 작물은 좋은 땅에 심어야 잘 자랄 수 있듯이 귀한 글들도 좋은 땅 출판사에 맡겨진다면 좋은 책이 될 수 있는 출판사

조용찬 저자

압청대삼반 저자
책 내는 A부터 Z 까지 편리한 출판사

압청대삼반 저자

조남주 저자
출판의 첫걸음을 따뜻하게 이끌어주는 믿을 수 있는 동반자입니다.

조남주 저자

김용태	 저자
판 진행과정이 체계적이고 저자와 소통이 긴밀하였으며, 담당자들의 성실함이 엿보였습니다.

김용태 저자

류관순 저자
출간을 망설이는 저자에게 소망을 이루게 하는 마중물 한 바가지 역할을 해준다.

류관순 저자

도서 제작에 대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좋은땅 출판사의 출판 시스템이 궁금하다면?

좋은땅
좋은땅

로그인 정보를 잊으셨나요?

아직 좋은땅 계정이 없나요?

회원가입

책 소개

좋은땅

함께 "좋은 책"을 만들어 갑니다.

  • 공지사항
  • 고객센터
  • 로그인
  • 회원가입
  • 책 소개
  • 요즘 트렌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후기
  • 좋은땅 TV
  • 더보기
출판 상담하기
닫기 아이콘
  • 책 소개 
  • 이달의 신간
  • 베스트셀러
  • 스테디셀러
  • 분야별 도서
  • 수상 및 선정 도서
  • 책 이야기 
  • 화제의 책
  • 출간 전 연재
  • 북카드
  • 알쓸출판
  • 글 쓰기 교실
  • 요즘 트렌드 
  • 트렌드 인사이트
  • 온라인 서점 베스트
  • 매장 진열
  • 언론 소개
  • 저자들의 이야기 
  • 저자 인터뷰
  • 함께 한 저자
  • 출판 후기
  • 좋은땅 TV 
  • 책 소개 영상
  • 후기 인터뷰
  • 좋은땅 쇼츠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 과정
  • 서점 유통
  • 판매 인세
  • 마케팅 프로그램
  • 유통 대행
  • 회사 소개 
  • 좋은 문화
  • 연혁
  • 좋은땅 공간
  • 고객 센터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자료실
  • 이벤트
출판에 대한 고민들 | 좋은땅과 함께라면 안심하실 수 있습니다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센터 아이콘

    고객센터

책 소개 > 자연/과학/공학 시설물유지관리공학

시설물유지관리공학
  • 김양중
  • 좋은땅
  • 2007년 04월 02일
공유하기
자연/과학/공학

시설물유지관리공학

  • 김양중
  • 좋은땅
  • 2007년 04월 02일

도서 기본 정보

  • 분야
  • 면수
  • 판형
  • 제본
  • ISBN
  • 전자책
  • 가격
  • 자연/과학/공학
  • 870쪽
  • -
  • 반양장
  • 없음
  • 35,000원

도서 판매처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영풍문고
  • 인터파크 도서
이 책과 관련된 게시글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시설물(施設物)이란 건설공사를 통하여 만들어진 구조물(構造物) 및 그 부대시설(附帶施設)로서 도로, 교량, 터널, 댐, 수리시설 및 건축물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공히 철재(鐵材) 또는 굳은 콘크리트의 동일성질(同一性質)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시설물유지관리(施設物維持管理)는 현행법상으로도 토목 과 건축 구조물을 함께 다루도록 규정되어 있으므로 본 도서가 대학교 교재뿐만 아니라 토목, 건축 산업현장에서 종사하는 실무자(實務者)들의 참고도서(參考圖書)로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편간(編刊)하여 토목, 건축 시설물(施設物)의 유지관리과정(維持管理科程)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나 저자의 능력(能力)과 시간부족으로 만족할만한 것으로 만들지 못한 아쉬움은 앞으로 계속적인 보충(補充) 및 보완(補完)으로 완성코자 하오니 널리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

목차

제1장 총론 및 개요
1.1 건설의 역사와 발전과정 ------------------------------------- 3
1.1.1 고대의 건축 -------------------------------------------------- 3
1.1.2 근대의 건축 -------------------------------------------------- 3
1.1.3 현대의 건축 -------------------------------------------------- 3
1.1.4 우리나라 건설역사와 발전과정 --------------------------------- 4
1.2 건설사고의 사례 -------------------------------------------- 6
1.2.1 인위재해와 자연재해 ------------------------------------------ 6
1.2.2 건설사고 사례 정보의 의의 ------------------------------------ 6
1.2.3 건설사고의 사례 ---------------------------------------------- 7
1.2.4 건설사고의 주요 원인 ----------------------------------------- 9
1.2.5 삼풍백화점 및 성수대교 붕괴사고사례 -------------------------- 10
1.3 유지관리산업의 도입 배경 ----------------------------------- 13
1.3.1 시설물의 정의 ------------------------------------------------ 13
1.3.2 안전관리 체계의 필요성에 의한 배경 --------------------------- 14
1.3.3 시설물의 제고확대에 따른 배경 -------------------------------- 15
1.3.4 유지관리의 적용 ---------------------------------------------- 16
1.4 건축물의 생체적 이해도 ----------------------------------------- 17
1.4.1 건축물의 생체적 이해 ----------------------------------------- 17
1.4.2 건축물의 생체적 기능 ----------------------------------------- 17
1.4.3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체적 대비 -------------------------------- 18
1.5 시설물의 유지관리 개념 ------------------------------------- 19
1.5.1 유지관리 용어의 정의 ----------------------------------------- 19
1.5.2 예지보전 ----------------------------------------------------- 20
1.5.3 예방보전 ----------------------------------------------------- 20
1.5.4 시설물의 구분 ------------------------------------------------ 21
1.6 유지관리와 LCC(Life Cycle Cost) ---------------------------- 23
1.6.1 총 생애주기비용(LCC)의 개념 ---------------------------------- 23
1.6.2 유지관리에서의 최적 LCC -------------------------------------- 25
1.7 유지관리의 방법 및 절차 ------------------------------------ 26
1.7.1 취지 및 기본지침 --------------------------------------------- 26
1.7.2 유지관리의 절차 ---------------------------------------------- 27
1.8 건축물의 내구년한 _----------------------------------------- 28
1.8.1 물리적 내구년한 ---------------------------------------------- 28
1.8.2 기능적 내구년한 ---------------------------------------------- 29
1.8.3 사회적 내구년한 ---------------------------------------------- 30
1.8.4 법적 내구년한 ------------------------------------------------ 31
1.9 유지관리의 기록 및 시스템화 -------------------------------- 31
1.9.1 유지관리 계획 수립 ------------------------------------------- 31
1.9.2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 ------------------------------------ 33
1.9.3 점검기록 및 관계도서의 보관 ---------------------------------- 34
1.9.4 유지관리의 시스템화 ------------------------------------------ 35

제2장 성능저하 원인 및 대책
2.1 굳은 콘크리트의 특성 --------------------------------------- 39
2.1.1 콘크리트의 일반 ----------------------------------------------- 39
2.1.1.1 콘크리트의 조성 ------------------------------------------ 41
2.1.1.2 수화 반응 ------------------------------------------------ 41
2.1.1.3 응결과 경화 ---------------------------------------------- 43
2.1.2 굳은 콘크리트의 강도 ------------------------------------------ 44
2.1.2.1 콘크리트의 강도이론 -------------------------------------- 44
2.1.2.2 인장 콘크리트의 강도 ------------------------------------- 45
2.1.2.3 압축콘크리트의 균열 및 파괴 ------------------------------ 46
2.1.2.4 콘크리트의 피로강도 -------------------------------------- 48
2.1.2.5 콘크리트의 충격강도 -------------------------------------- 51
2.1.2.6 콘크리트의 미세균열 -------------------------------------- 52
2.1.3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인자 ------------------------------------ 53
2.1.3.1 구성재료의 영향 ------------------------------------------ 53
2.1.3.2 콘크리트 배합의 영향 ------------------------------------- 55
2.1.3.3 시공방법의 영향 ------------------------------------------ 56
2.1.3.4 콘크리트 재령의 영향 ------------------------------------- 57
2.1.3.5 양생의 영향 ---------------------------------------------- 57
2.1.4 굳은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 59
2.1.4.1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도 관계 ------------------------------ 59
2.1.4.2 탄성계수 ------------------------------------------------- 63
2.1.4.3 콘크리트의 크리프 ---------------------------------------- 64
2.1.4.4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 66
2.2 시설물의 노후화 -------------------------------------------- 69
2.2.1 노후도 평가 항목 및 기준 -------------------------------------- 71
2.2.2 퍼지이론에 의한 노후도 평가 ---------------------------------- 73
2.2.2.1 가능성 이론 ---------------------------------------------- 73
2.2.2.2 퍼지이론의 개념 ------------------------------------------ 76
2.2.2.3 퍼지집합의 개념 ------------------------------------------ 76
2.2.2.4 관계의 특성 및 함수 -------------------------------------- 78
2.2.2.5 퍼지집합의 예 -------------------------------------------- 79
2.2.3 퍼지이론에 의한 노후도 평가 등급 ----------------------------- 80
2.3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 82
2.3.1 내구성 관련용어 ---------------------------------------------- 82
2.3.2 내구 설계 ---------------------------------------------------- 85
2.3.3 내구성 저하 원인 --------------------------------------------- 88
2.4 성능저하(열화)의 원인 및 대책 ------------------------------ 90
2.4.1 중 성 화 ----------------------------------------------------- 91
2.4.2 알칼리 골재반응 ---------------------------------------------- 99
2.4.3 염 해 ------------------------------------------------------- 108
2.4.4 철근부식 ----------------------------------------------------- 120
2.4.5 동 해 ------------------------------------------------------- 132
2.4.6 화학적 부식 -------------------------------------------------- 138
2.4.7 화 재 ------------------------------------------------------- 149
2.4.8 균 열 ------------------------------------------------------- 156
2.4.9 누수 및 백화 ------------------------------------------------- 157
2.4.10 콘크리트의 강도 열화 ----------------------------------------- 162
2.4.11 변형과 처짐 -------------------------------------------------- 166
2.4.12 표면 열화(풍화, 노화) ---------------------------------------- 170

제3장 비파괴검사 및 안전진단
3.1 개 요 ------------------------------------------------------ 177
3.1.1 안전관리 체계도 ---------------------------------------------- 178
3.1.2 점검 또는 진단의 실시자격 ------------------------------------ 179
3.1.3 안전관리에 필요한 자료 --------------------------------------- 180
3.2 안전진단의 종류 및 방법 ------------------------------------ 181
3.2.1 계획 수립 ---------------------------------------------------- 181
3.2.2 정기 점검 ---------------------------------------------------- 182
3.2.3 정밀 점검 ---------------------------------------------------- 184
3.2.4 정밀안전진단 ------------------------------------------------- 187
3.2.5 상태ㆍ안정성 및 종합평가 ------------------------------------- 191
3.3 비파괴검사 ------------------------------------------------- 200
3.3.1 개 요 -------------------------------------------------------- 200
3.3.2 계측 및 오차 ------------------------------------------------- 204
3.3.3 육안 검사 ---------------------------------------------------- 210
3.3.4 콘크리트 강도추정 비파괴검사 --------------------------------- 223
3.3.4.1 개 요 --------------------------------------------------- 223
3.3.4.2 관입저항시험 --------------------------------------------- 223
3.3.4.3 핀인발시험 ----------------------------------------------- 225
3.3.4.4 내부확장 파괴시험 ---------------------------------------- 227
3.3.4.5 되돌이 파괴시험 ------------------------------------------ 228
3.3.4.6 인장파괴시험 --------------------------------------------- 229
3.3.4.7 구부림 강도시험 ------------------------------------------ 231
3.3.4.8 적산온도에 의한 강도시험 --------------------------------- 231
3.3.4.9 기타 비파괴 검사법 --------------------------------------- 232
3.3.5 반발경도 검사 ------------------------------------------------ 233
3.3.6 초음파 검사 -------------------------------------------------- 244
3.3.7 복합비파괴검사(조합법) --------------------------------------- 262
3.3.8 충격탄성파 검사 ---------------------------------------------- 263
3.3.9 철근 탐사 --------------------------------------------------- 270
3.3.10 전자파 레이더법 ---------------------------------------------- 294
3.3.11 열적외선 탐사법 ---------------------------------------------- 302
3.3.12 방사선 투과시험 ---------------------------------------------- 312
3.3.13 코어 강도시험 ------------------------------------------------ 323
3.4 화학반응 검사 ---------------------------------------------- 328
3.4.1 중성화 검사 -------------------------------------------------- 328
3.4.2 알칼리 골재반응 검사 ----------------------------------------- 337
3.4.3 강재 침투 탐상 검사 ------------------------------------------ 351
3.4.4 강재 자분 탐상 검사 ------------------------------------------ 359

제4장 균열의 종류 및 형상
4.1 개 요 ----------------------------------------------------- 373
4.1.1 균열 관리 ---------------------------------------------------- 373
4.2 균열의 메커니즘 -------------------------------------------- 378
4.2.1 콘크리트의 공극 ---------------------------------------------- 378
4.2.2 균열발생의 메커니즘 ------------------------------------------ 381
4.2.3 허용 균열폭 -------------------------------------------------- 487
4.3 균열발생의 원인 -------------------------------------------- 399
4.4 균열의 분류 및 종류 ---------------------------------------- 400
4.4.1 발생부위ㆍ형태에 의한 분류 ----------------------------------- 400
4.4.2 원인에 의한 분류 --------------------------------------------- 402
4.5 구조적 거동 ------------------------------------------------ 410
4.5.1 구조적 거동의 이해 ------------------------------------------- 410
4.5.2 전단파괴사례를 통한 거동의 이해 ------------------------------ 411

제5장 구조물의 보수, 보강
5.1 개 요 ----------------------------------------------------- 417
5.1.1 용어의 정의 -------------------------------------------------- 417
5.1.2 보수ㆍ보강의 의미 -------------------------------------------- 418
5.2 보수공사 --------------------------------------------------- 422
5.2.1 보수공사 진행절차 -------------------------------------------- 422
5.2.2 보수범위의 선정 ---------------------------------------------- 423
5.2.3 공법 선정 ---------------------------------------------------- 424
5.2.4 보수재료 선정 ------------------------------------------------ 426
5.2.5 보수재료의 분류 ---------------------------------------------- 428
5.3 균열 및 표면열화 보수공법 ---------------------------------- 436
5.3.1 균열 퍼티 보수공법 ------------------------------------------- 436
5.3.2 균열 충전 보수공법 ------------------------------------------- 439
5.3.3 컨트롤조인트 신설보수공법 ------------------------------------ 442
5.3.4 건식균열 주입 보수공법 --------------------------------------- 447
5.3.5 습식균열 주입 보수공법 --------------------------------------- 457
5.3.6 누수균열 보수공법 -------------------------------------------- 458
5.3.7 각종 균열에 대한 보수공법 적용 ------------------------------- 464
5.4 열화 및 열화방지 보수공법 ---------------------------------- 465
5.4.1 표면열화 보수공법 -------------------------------------------- 465
5.4.2 침투재 도포공법 ---------------------------------------------- 469
5.4.3 표면 피복공법 ------------------------------------------------ 472
5.4.4 전기화학적 보수공법 ------------------------------------------ 475
5.4.5 전기 방식공법 ------------------------------------------------ 481
5.5 단면 복구공법 ---------------------------------------------- 486
5.6 프리-팩(pre-packed) 공법 ----------------------------------- 496
5.7. 기타 공법 -------------------------------------------------- 500
5.7.1 화학적 부식콘크리트의 부식공법 ------------------------------- 500
5.7.2 외벽 마감재 박락 보수공법 ------------------------------------ 504
5.7.3 표면곰보 및 골재분리 보수공법 -------------------------------- 506
5.8 보강의 원리 및 기본적 해석 --------------------------------- 509
5.8.1 단면증가에 의한 해석 ----------------------------------------- 509
5.8.2 모멘트 다이어그램에 의한 해석 -------------------------------- 510
5.8.3 보강섬유의 설계자료 ------------------------------------------ 511
5.8.4 탄소섬유 보강설계 -------------------------------------------- 513
5.8.5 유리섬유 보강설계 -------------------------------------------- 516
5.8.6 강판의 보강설계 ---------------------------------------------- 524
5.9 보강 공법 -------------------------------------------------- 529
5.9.1 꺽쇠근 보강공법 ---------------------------------------------- 529
5.9.2 강봉 앵커링 보강공법 ----------------------------------------- 531
5.9.3 강판(철판) 보강공법 ------------------------------------------ 534
5.9.4 섬유 보강공법 ------------------------------------------------ 540
5.9.5 단면 증대공법 ------------------------------------------------ 548
5.9.6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 ---------------------------------------- 552
5.9.7 전단ㆍ인장 동시 텐셔닝 보강공법 ------------------------------ 560
5.9.8 강연선 매입 보강공법 ----------------------------------------- 566
5.9.9 치장 적벽돌 보강공법 ----------------------------------------- 571
5.9.10 메쉬 보강공법 ------------------------------------------------ 579

제6장 기초 및 연약지반 보강
6.1 지반의 구성 및 기초 ---------------------------------------- 585
6.1.1 지구 및 지층 생성 -------------------------------------------- 585
6.1.2 지반의 구성 요소 --------------------------------------------- 587
6.1.3 연약지반 및 불안정 기초지반 ---------------------------------- 597
6.2 얕은 기초 -------------------------------------------------- 598
6.2.1 기초의 개요 및 종류 ------------------------------------------ 598
6.2.2 얕은 기초의 개요 --------------------------------------------- 599
6.2.3 기초의 안정성 ------------------------------------------------ 604
6.2.4 기초의 지지력 ------------------------------------------------ 606
6.2.5 지반의 파괴형태 ---------------------------------------------- 612
6.3 기초 및 지반 침하 ------------------------------------------ 614
6.3.1 기초침하의 원인 및 종류 -------------------------------------- 614
6.3.2 기초의 압밀침하 ---------------------------------------------- 615
6.3.3 침하에 의한 영향 --------------------------------------------- 616
6.3.4 침하에 대한 대책 --------------------------------------------- 618
6.4 지하수의 처리 방법 ----------------------------------------- 619
6.4.1 지반내의 물 -------------------------------------------------- 619
6.4.2 지하수위 강하공법 -------------------------------------------- 622
6.4.3 그라우팅 차수공법 -------------------------------------------- 629
6.4.4 배면그라우팅 방수공법 ---------------------------------------- 635
6.5 연약지반 및 기초 보강공법 ---------------------------------- 640
6.5.1 개요 및 적용 ------------------------------------------------- 640
6.5.2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분류와 특징 ------------------------------ 640
6.5.3 배수 공법 ---------------------------------------------------- 641
6.5.4 재하중 공법 -------------------------------------------------- 642
6.5.5 다짐 말뚝공법(다짐 모래말뚝공법) ----------------------------- 646
6.5.6 생석회 말뚝공법 ---------------------------------------------- 648
6.5.7 주입 공법 ---------------------------------------------------- 651
6.5.8 시멘트 밀크 그라우팅공법 ------------------------------------- 655
6.5.9 컴팩션 그라우팅공법 ------------------------------------------ 658
6.5.10 케미컬 그라우팅공법 ------------------------------------------ 661
6.5.11 언더피닝 공법 ------------------------------------------------ 664

제7장 지진 및 내진보강
7.1 개요 및 지진 ----------------------------------------------- 673
7.1.1 지구와 지진 발생 --------------------------------------------- 673
7.1.2 지진발생 원인의 이론 ----------------------------------------- 674
7.1.3 지진대 ------------------------------------------------------- 681
7.1.4 지진의 종류 -------------------------------------------------- 682
7.1.5 지진의 요소 -------------------------------------------------- 682
7.1.6 지진 현상 ---------------------------------------------------- 689
7.2 해외 및 국내의 지진 사례 ----------------------------------- 694
7.2.1 외국의 주요 지진 기록 ---------------------------------------- 694
7.2.2 우리나라의 지진 환경 ----------------------------------------- 697
7.3 지진 피해 -------------------------------------------------- 703
7.3.1 화 재 -------------------------------------------------------- 703
7.3.2 부동 침하 ---------------------------------------------------- 703
7.3.3 액상화 ------------------------------------------------------- 704
7.3.4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피해 ------------------------------------- 704
7.4 기존 구조물의 내진 보강 ------------------------------------ 708
7.4.1 개요 및 의미 ------------------------------------------------- 708
7.4.2 지진동의 예측 및 내진진단 ------------------------------------ 709
7.4.3 내진보강 방법 ------------------------------------------------ 715
7.4.4 내진 전단벽 공법 --------------------------------------------- 719
7.4.5 가새 설치공법 ------------------------------------------------ 721
7.4.6 기둥성질 개선공법 -------------------------------------------- 723
7.4.7 날개벽의 증설공법 -------------------------------------------- 724
7.4.8 면진 공법 ---------------------------------------------------- 725
7.4.9 제진 공법 ---------------------------------------------------- 738
7.4.10 지반, 기초의 내진 보강공법 ----------------------------------- 745

제8장 하자 및 관리대책
8.1 개요 및 하자 ----------------------------------------------- 749
8.1.1 하자의 개념 -------------------------------------------------- 749
8.1.2 하자 및 부실공사 발생원인 ------------------------------------ 751
8.1.3 하자의 범위 -------------------------------------------------- 753
8.1.4 하자보수 책임기간 -------------------------------------------- 755
8.2 하자처리 절차 ---------------------------------------------- 759
8.2.1 하자 조사 ---------------------------------------------------- 759
8.2.2 하자 판정 ---------------------------------------------------- 761
8.2.3 하자 처리 ---------------------------------------------------- 762
8.2.4 하자보수 보증금 ---------------------------------------------- 765
8.2.5 하자보수관리 및 종료 ----------------------------------------- 768
8.3 주요 하자 사례 --------------------------------------------- 771
8.3.1 주요 하자발생 사례 ------------------------------------------- 771
8.3.2 결로의 원인 및 방지대책 -------------------------------------- 772
8.3.3 벽지의 하자발생 ---------------------------------------------- 776
8.3.4 층간 소음 ---------------------------------------------------- 781
8.3.5 방수층의 하자 ------------------------------------------------ 781
제9장 시설물의 리모델링
9.1 개요 및 리모델링 ------------------------------------------- 785
9.1.1 건설의 흐름 및 방향 ------------------------------------------ 785
9.1.2 리모델링의 개념 ---------------------------------------------- 786
9.1.2.1 리모델링의 배경 ------------------------------------------ 786
9.1.2.2 리모델링의 의미 ------------------------------------------ 788
9.1.2.3 리모델링 의미의 용어 ------------------------------------- 788
9.1.2.4 리모델링의 3대 요구조건 ---------------------------------- 789
9.1.2.5 리모델링의 수요요인 -------------------------------------- 790
9.1.3 리모델링의 분류 ---------------------------------------------- 797
9.1.3.1 노후화 대책의 리모델링 ----------------------------------- 797
9.1.3.2 부대설비 기능 향상의 리모델링 ---------------------------- 797
9.1.3.3 인텔리전트화 리모델링 ------------------------------------ 798
9.1.3.4 문화, 역사적 건축물의 리모델링 --------------------------- 799
9.1.3.5 이파트의 리모델링 ---------------------------------------- 800
9.2 리모델링의 절차 -------------------------------------------- 801
9.2.1 개요 및 절차 흐름도 ------------------------------------------ 801
9.2.2 리모델링의 절차 ---------------------------------------------- 802
9.2.2.1 리모델링의 동기 및 적합성 검토 --------------------------- 802
9.2.2.2 현상 파악 ------------------------------------------------ 802
9.2.2.3 조사, 진단 ----------------------------------------------- 803
9.2.2.4 기획 및 제안 --------------------------------------------- 803
9.2.2.5 시행 ----------------------------------------------------- 804
9.2.2.6 효과 확인 ------------------------------------------------ 804
9.3 리모델링 사례 ---------------------------------------------- 805
9.3.1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 805
9.3.1.1 수평통합 증축형 ------------------------------------------ 805
9.3.1.2 수직통합 증축형 ------------------------------------------ 805
9.3.1.3 발코니 확장형 -------------------------------------------- 806
9.3.1.4 복도 확장형 ---------------------------------------------- 806
9.3.2 일반건축물의 지하 증설형 ------------------------------------- 807
9.3.2.1 개요 및 일반 --------------------------------------------- 807
9.3.2.2 가설받침대의 종류 ---------------------------------------- 807
9.3.3 리모델링의 사례 ---------------------------------------------- 808
9.3.3.1 명동 00빌딩 구조개선 및 리모델링 공사 -------------------- 808
9.3.3.2 방배동 00 아파트 리모델링 공사 --------------------------- 810

작가 정보
저자(글) 김양중
인물 상세 정보

예화포커스시리즈(1~50)

보험계약법

고려전기 한문학의 흐름과 양성

국제금융법

우린 날마다 술집을 찾습니다

영생의 길

우스갯소리에도 철학이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어찌 부모님만 하오리까

지순한 행복

무지 다시 희망을 이야기 한다

파도소리

새벽이 눈 뜰때...

My Little Brother Andrew

시설물유지관리공학

너희가 교육을 아느냐

넓은세상이야기

현명한 투기

지식이 부족하면 지혜라도 가져라

槐堂公遺書解義 괴당공유서해의

유학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

고등학생이야기

아이오차트를 활용한 선물매매전략

신명기와 애비의 잔소리

안녕하세요 김재훈입니다

모자성

삶의 향기

이동통신공학

常用 成?俗??程(성어와 속어로 중국어를 말하자)

영재채스교실

Financial Modeling and Consulting

낙엽새가 아픔을 물어왔습니다

걸었어, 걸어야 했어

구암시선집

2008년 사법연수원 국제통상법학회 지성과 패기

삼역의학

하나님의 기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천국의 사계

나님과 함께하는 삶 - 자네는 성공했네

은혜의 나무

동작원리

파리의 천사1

부산대학교 면접, 구술고사

향의 비밀

에피소드

물위의 빛

화훼디자이너를 위한 색채학

ANSYS의 Full 3D FEM에 의한 사장교 해석

현대목회학

나의 꿈은 스튜어디스

일컬음

오늘의 묵상

직무관리 매뉴얼

예수를 소유하라

사업예산제도와 정부의 성과관리

뱅기 탈 土木쟁이들에게

고객 가치 중심의 비즈니스 혁명

재가복지서비스와 북내외 노인복지시설

오브젝트 파스칼 입문

목회행정

운명이여 불을 켜라

379 농가가 궁금해 하는 농약 이야기 41문 41답

봄날

아버지의 추억(상, 하)

화훼디자인의 이해

사람이야기, 병이야기

선생님, 나랑 숨바꼭질 할래요?

중국, 연변을 다녀와서

가난해도 좋아요

일곱 번째 촛불을 켜고

영웅곡(英雄曲)

행복한 사람

FIC강해설교

토지보상법 길잡이

다시 석공에게

마음이 가는 방

누구나 미술치료가 될 수 있는 미술치료 해석도구

하늘 드리운 나무이야기

전진의 미국대통령 꿈

꽃피는 봄이 좋아

한국어와 중국어의 사동사 대조연구

해바라기 꽃

NEAT Writing 입문

동행의 길섭에서

도로교통사고감정사(도로교통관련법규)

명쾌한 수학

새빛

부동산경매 기초에서 실전투자까지

노트북설계(기본편)

현대사회와 질병

가장 아름다운 아이들Ⅲ-수도사랑의학교 가족들의 살아가는 이야기

경상대학교 개교60주년 기념 자랑스러운 경상인

예배학연구논집

재미있게 풀어보는 영재성 판별도구

상위 초·중학생을 위한 창의력 수학 입문서 - E&I MATH

American Breakfast

어머니의 기도문

건널 수 없는 강

지성과패기

순종의 서정

고교 LEVEL 수준별 수학

정의감의 판결

The Winter Love

어머니와 스승

내 마음의 호수

강의 흐름을 따르립이까

내가 살아온 길

Urban Suburbs

도로교통사고감정사(차량운동학)

안내양 안내군의 우리 문화 이야기

항공기 기체 work book

항공기 기체 text book

내마음의 산들

삶은 자신의 카누를 노 저어 가는 것이다

도로교통사고감정사(교통사고 조사 분석서 작성 및 재현실무)

경기외고생들의 The Guide of Korean Palaces

민주와의 전투

헤드라이트

나는 돈복보다 일복이 좋다

바하올라 선집

리치트랙-부자 바이블1

까칠한 그녀

간이공원

꽃을 피우려 할 때(상)

하늘꿈을 만나다

선택한 축제

복음을 담은 그릇 우리말 보듬기

지고 살아가는 삶

암을 이기는 희망의 이름 차가버섯

소꿉장난으로 하루해가 진다

고령화사회와 노인복지

평화의 해부학

한번에 합격하기 유통관리사 2급

리치트랙-부자 바이블 2

사람, 그리고 사랑

회정인들의 이야기 1

장날

회정인들의 이야기 2

누드드로잉(드로잉과 수필)

바람이고 싶어

그날같은 오늘을 날마다 살고싶다

SAT Vocabulary GAME

소리없는 대화

홍성전통시장 사람들

그 별을 찾는 아이

대연우암 공동체의 꿈

같은 분야의 도서
더보기
왜? 우주개발을 해야 하는가!
Agile 바로잡기
K, 방산업체 천재가 되다
제로 투 제조
청와대야 소풍 가자(개정증보판)
체리재배 MANUAL
숲해설가가 들려주는 우리 나무, 풀꽃 이야기
유비쿼터스 스마트 농수산업
생물심리학 입문
인공지능 도시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7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 공지사항
  • 개인정보취급방침
  • 앱다운로드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 좋은땅㈜ B1 ~ 5F ©G-WORLD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홈

검색

전체

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