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편하게 출판 문의 등록하기!📌

저자님들이 자주 묻는 질문을 확인해보세요
좋은땅
  • 로그인 아이콘
  • 로그인하고 도서 제작해 보세요!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 센터 아이콘

    고객 센터

  • 책 소개 아이콘

    책 소개

  • 화제의 책 아이콘

    화제의 책

  • 수상 도서 아이콘

    수상 도서

  • 저자 인터뷰 아이콘

    저자 인터뷰

  • 회사 소개 아이콘

    회사 소개

나의 도서 관리
  • 공지 사항
  • [공지] 2023년 종합소득신고용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안내 (2022년도 귀속분)
좋은땅 도서 이야기
  • 책 소개
  • 책 이야기
  • 요즘 트렌드
저자들의 생생한 이야기
  • 저자들의 이야기
  • 좋은땅 TV
좋은땅 가이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회사 소개
  • 고객센터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제휴문의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지월드빌딩 (서교동 395-7)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저자님,

5,336번째

도서 제작에 도전해보세요!

박울보 저자
누구나 뜻한 바 충분히 배려 받고, 쉽고 편하게 소통할 수 있는 곳

박울보 저자

조용찬 저자
귀한 작물은 좋은 땅에 심어야 잘 자랄 수 있듯이 귀한 글들도 좋은 땅 출판사에 맡겨진다면 좋은 책이 될 수 있는 출판사

조용찬 저자

압청대삼반 저자
책 내는 A부터 Z 까지 편리한 출판사

압청대삼반 저자

조남주 저자
출판의 첫걸음을 따뜻하게 이끌어주는 믿을 수 있는 동반자입니다.

조남주 저자

김용태	 저자
판 진행과정이 체계적이고 저자와 소통이 긴밀하였으며, 담당자들의 성실함이 엿보였습니다.

김용태 저자

류관순 저자
출간을 망설이는 저자에게 소망을 이루게 하는 마중물 한 바가지 역할을 해준다.

류관순 저자

도서 제작에 대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좋은땅 출판사의 출판 시스템이 궁금하다면?

좋은땅
좋은땅

로그인 정보를 잊으셨나요?

아직 좋은땅 계정이 없나요?

회원가입

책 소개

좋은땅

함께 "좋은 책"을 만들어 갑니다.

  • 공지사항
  • 고객센터
  • 로그인
  • 회원가입
  • 책 소개
  • 요즘 트렌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후기
  • 좋은땅 TV
  • 더보기
출판 상담하기
닫기 아이콘
  • 책 소개 
  • 이달의 신간
  • 베스트셀러
  • 스테디셀러
  • 분야별 도서
  • 수상 및 선정 도서
  • 책 이야기 
  • 화제의 책
  • 출간 전 연재
  • 북카드
  • 알쓸출판
  • 글 쓰기 교실
  • 요즘 트렌드 
  • 트렌드 인사이트
  • 온라인 서점 베스트
  • 매장 진열
  • 언론 소개
  • 저자들의 이야기 
  • 저자 인터뷰
  • 함께 한 저자
  • 출판 후기
  • 좋은땅 TV 
  • 책 소개 영상
  • 후기 인터뷰
  • 좋은땅 쇼츠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 과정
  • 서점 유통
  • 판매 인세
  • 마케팅 프로그램
  • 유통 대행
  • 회사 소개 
  • 좋은 문화
  • 연혁
  • 좋은땅 공간
  • 고객 센터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자료실
  • 이벤트
출판에 대한 고민들 | 좋은땅과 함께라면 안심하실 수 있습니다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센터 아이콘

    고객센터

책 소개 > 인문 어머니와 스승

어머니와 스승
  • 반재식
  • 좋은땅
  • 2011년 07월 01일
공유하기
인문

어머니와 스승

  • 반재식
  • 좋은땅
  • 2011년 07월 01일

도서 기본 정보

  • 분야
  • 면수
  • 판형
  • 제본
  • ISBN
  • 전자책
  • 가격
  • 인문
  • 422쪽
  • 152mm×225mm
  • 9788964491713
  • 없음
  • 000원

도서 판매처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영풍문고
  • 인터파크 도서
이 책과 관련된 게시글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제1부 <어머니 百選>, 제2부 <스승 百選>로 구성하였다.

유씨는 옆에 항상 회초리를 비단 보자기에 싸 두고 있었다. 사람들이 이유를 묻자 이렇게 말했다.
"나한테는 아주 귀중한 것이어서 그런다네. 생각해 보게. 서봉이가 잘못하면 저 회초리로 사정없이 종아리를 쳐 올바르게 깨우치도록 해 주는데 어찌 귀중한 것이 아닐 수 있겠는가."

-<어머니 백선> 중, 삼대호당 홍서봉(洪瑞鳳) 어머니 편에서


이황은 제자들과 논쟁을 자주 벌였다. 그만큼 가르치는 쪽이라 하여 일방적인 자세를 갖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논쟁을 벌일 때 제자들의 의견이 분분하면 스승은 조용히 경청하고 있다가 자기 의견을 말하는데 그때는 논리를 분명히 해서 길을 터 주었다.
그는 자기주장만을 내세우는 스승이 아니었다.

-<스승 백선> 중, 자애롭고, 자상한 것이 권위였던 퇴계 이황 편에서

목차

제1부 <어머니 百選>

1. 고구려 시조 동명왕(東明王) 어머니 --- 활쏘기를 가르치는 어머니
2. 신라 제4대 왕 석탈해(昔脫解) 어머니 --- 착하기만 해선 안 된다
3. 명장 김유신(金庾信) 어머니 --- 눈앞에 펼쳐진 아들의 인생행로
4. 화랑 원술(元述) 어머니 --- 가치관 확인시켜 준 신라의 어머니
5. 의상대사의 제자 진정법사(眞定法師) 어머니 --- 단 하나뿐인 솥
6. 재상 김대성(金大城) 어머니 --- 석굴암을 만들게 한 전생의 어머니
7. 명문장 최응(崔凝) 어머니 --- 아들을 딸로 키우다
8. 명장 강감찬(姜邯贊) 어머니 --- 못생긴 아들을 달래 주는 어머니
9. 문신 정문(鄭文) 어머니 --- 유복자의 두 어머니
10. 명신 김부식(金富軾) 어머니 --- 국가가 고마워한 어머니
11. 명장 김숙흥(金叔興) 어머니 --- 이 두꺼비를 뜯어 먹어라!
12. 명문장 이숭인(李崇仁) 어머니 --- 적성 계발해 주고, 몸소 실천
13. 만고충절 정몽주(鄭夢周) 어머니 --- 까마귀 싸우는 곳에 백로야 가지 마라
14. 학자 정인지(鄭麟趾) 어머니 --- 아들의 출세 뒤엔 어머니의 선견지명이
15. 문장가 이건창(李建昌) 어머니 --- 글 몰랐으나 의(義)에는 명석
16. 영의정 홍석주(洪奭周) 어머니 -- 아들이 알아준 어머니
17. 명재상 윤두수(尹斗壽) 어머니 --- 머슴을 두둔하는 어머니
18. 실학자 서유구(徐有?) 어머니 --- 날마다 ‘많이 진보했느냐?’
19. 조선 10대 임금 연산군 어머니 --- 상이 있으면 반드시, 벌이 있는 법이다
20. 수재 성간(成侃) 어머니 --- 집안에 앉아서도 세상일 훤히 꿰뚫어
21. 역사가 안정복(安鼎福) 어머니 --- 이득을 쫓는 일은 가르치지 않아도 알게 된다
22. 명장 이징옥(李澄玉) 어머니 --- 두 장수의 어머니
23. 정승 서지수(徐志修) 어머니 --- 삼대 정승 집안의 며느리는 왕년의 말괄량이
24. 성리학 대가 임성주(任聖周) 어머니 --- 평생 순하게 산 어머니
25. 어진 임금 성종의 어머니 --- 수신서 번역해 여성 가르친 어머니
26. 생육신 중 한 사람 남효온(南孝溫) 어머니 --- ‘먼저 술을 끊고 정신을 차려라’
27. 명문장 임상덕(林象德) 어머니 --- 어머니 얼굴 기억할 수 없지만
28. 큰 학자 정여창(鄭汝昌) 어머니 --- 모친과의 약속 지키려 임금이 주는 술도 안 마셔
29. 선비 이재(李縡) 어머니 --- 글 읽는 아들과 함께 밤새는 어머니
30. 임실 군수 이회(李?) 어머니 --- 전장으로 남편과 자식을 보내고
31. 관북부자(關北夫子) 이재형(李載亨) 어머니 --- 가슴속의 싹은 얼굴과 눈에 나타난다
32. 구도장원(九度壯元) 이이(李珥) 어머니 --- 예술, 도덕, 학문으로 원만한 교육
33. 온양 현감 이중경(李重慶) 어머니 --- 외부 스승의 힘을 빌리지 않았던 어머니
34. 난세의 선비 송상기(宋相琦) 어머니 --- 벼슬 버리기를 침 뱉듯이 하라.
35. 명문장 박광우(朴光佑) 어머니 --- 네 형제를 한 이불 속에 재운 까닭
36. 당파싸움 예고했던 이준경(李浚慶) 어머니 --- 기초는 어머니에게 배워
37. 삼대 호당(三代湖堂) 홍서봉(洪瑞鳳) 어머니 --- 비단보에 싸 둔 회초리
38. 큰 학자 김창흡(金昌翕) 어머니 --- 대가족의 중심이었던 어머니
39. 명재상 최규서(崔奎瑞) 어머니 --- 가득 차면 넘친다
40. 명필 양사언(楊士彦) 어머니 --- 칼로 목을 찔러 아들 운명 바꾸다
41. 영의정 홍섬(洪暹) 어머니 --- 이런 무식한 정승을 어디다 쓰랴
42. 명신 오도일(吳道一) 어머니 --- 가정에서의 행실부터 바로 하라
43. 대동법 실시 김육(金堉) 어머니 --- 포부를 크게 갖고, 기죽지 마라
44. 조선의 주자, 조선의 공자 이황(李滉) 어머니 --- 글을 잘 외우고, 잘 지으면 뭘 하냐
45. 8차례 이조판서 김귀영(金貴榮) 어머니 --- 친척 차별을 하는데 어찌 나라 일을 잘할 수 있을까
46. 명재상 이항복(李恒福) 어머니 --- 나는 자식을 가르치지 못한 죄인이다
47. 외아들 기르는 젊은 어머니 --- 무덤 속의 침실
48. 명신 조지겸(趙持謙) 어머니 --- 딸 가진 집안에서 흠모했던 어머니
49. 명인 김만중(金萬重) 어머니 --- 곡식을 주고 책과 바꾸다
50. 명필 한호(韓濩) 어머니 --- 종이 대신 떡갈나무잎과 항아리
51. 명재상 이세백(李世白) 어머니 --- 늘 전원으로 가고자 했던 어머니
52. 대사성 김식(金湜) 어머니 --- 세상이 아들을 알아보게 한 건 어머니였다
53. 명재상 남구만(南九萬) 어머니 ---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짖는다
54. 명신 신익성(申翊聖) 어머니 --- 그 어머니를 보고 사위를 고르다
55. 포도대장 장지항(張志恒) 어머니 --- 입이 무거우면 산다
56. 명신 서성(徐?) 어머니 --- 눈먼 어머니의 지혜
57. 재야에서 발탁 이현일(李玄逸) 어머니 --- 정말 배운 대로 하는구나
58. 재야학자 정시한(鄭時翰) 어머니 --- 벼슬에 미련을 버려라
59. 척화파 이명한(李明漢) 어머니 --- 저녁을 차리러 집에 가야 하오
60. 학자 윤순거(尹舜擧) 어머니 --- 오직 부지런해야 한다
61. 명신 김상헌(金尙憲) 어머니 --- 뚜렷한 신념 그대로 산 어머니
62. 명재상 허목(許穆) 어머니 --- 당쟁의 저편에서 고고했던 어머니
63. 명재상 이경여(李敬輿) 어머니 --- 어머니를 본받은 어머니
64. 용장 정발(鄭撥) 어머니 --- 이것이 마지막이라 해도 울지 마라
65. 북벌의 실무자 이경석(李景奭) 어머니 --- 화목해라, 그 안에 길이 있다
66. 학자 권상하(權尙夏) 어머니 --- 결정적인 처세술 강의
67. 청지기 최술(崔戌) 어머니 --- 아들놈을 파면시켜 주시오
68. 방랑시인 김병연(金炳淵) 어머니 --- 진실을 숨기지 않았던 어머니
69. 김학성(金鶴聲), 김봉성(金鳳聲) 어머니 --- 은괴 담긴 솥, 단호하게 버리다
70. 문장가 이식(李植) 어머니 --- 자신의 일은 자신의 힘으로
71. 감인소 교정 장혼(張混) 어머니 --- 봉급으로 살만 하면 되었다
72. 명신 조익(趙翼) 어머니 --- 아들의 뜻은 실은 어머니의 뜻
73. 명신 유성룡(柳成龍) 어머니 --- 잡스럽게 교유하지 마라
74. 명신 김성일(金誠一) 어머니 --- 한 번 죽는 건 슬프지 않지만
75. 명신 유희춘(柳希春) 어머니 --- 충성이 먼저인가, 효성이 먼저인가
76. 큰 스승 김종직(金宗直) 어머니 --- 어머니가 생각하는 사람의 도리
77. 실학자 홍대용(洪大容) 어머니 --- 급하면 이루지 못한다
78. 실학파 한글학자 유희(柳僖) 어머니 --- 태교에 조예 깊은 어머니
79. 갑부 김양옥(金良玉) 어머니 --- 시련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80. 집강(執綱) 조일선(趙馹善) 어머니 --- 평생 간직한 남편의 적삼
81. 열사의 딸 이금령(李金鈴) 어머니 --- 최초로 부인상점 개점
82. 교육 운동가 이승조(李承祚) 어머니 --- 남의 집 노인도 내 집 노인처럼
83. 교육가 최송설당(崔松雪堂) 어머니 --- 남편의 유지 마무리
84. 사회사업가 백선행(白善行) 어머니 --- 딸에게 물려준 치부의 비결
85. 정치가 여운형(呂運亨) 어머니 --- 담력, 체력, 백절불굴의 기백도 어머니
86. 마라토너 손기정(孫基禎) 어머니 --- 검정 여자 고무신만 사 주시던 어머니
87. 영문학자 이양하(李敭河) 어머니 --- 사랑을 나누어 새 생명 키워 준 젖어머니
88. 언론인 유봉영(劉鳳榮) 어머니 --- 온유하게 말하는 속에 깨우침이 있었다
89. 시인 서정주(徐廷柱) 어머니 --- 못사는 자식 돌봐 주신 뜻은
90. 작가 한설야(韓雪野) 어머니 --- 병아리 발톱에 씌운 아들의 장갑
91. 작가 채만식(蔡萬植) 어머니 --- 모든 걸 주고도 못다 한 기원
92. 영화감독 유현목(兪賢穆) 어머니 --- 절대 효도하지 마라
93. 대학교수 안인희(安仁熙) 어머니 --- 일곱 딸들의 장래 열어 주다
94. 의사 최신해(崔臣海) 어머니 --- 불덩이를 안고 살았던 한글학자의 아내
95. 작가 한무숙(韓戊淑) 어머니 --- 아들을 양자로 보낸 뒤 딸만 넷
96. 평론가 정충량(鄭忠良) 어머니 --- 힘이 되었던 어머니의 눈물
97. 철학가 안병욱(安秉煜) 어머니 --- 백인당중유태화(百忍堂中有泰和)
98. 사회사업가 고자일(高子一) 어머니 --- 남편은 일생의 손님이다
99. 극작가 한운사(韓雲史) 어머니 --- 자식의 성장 기다렸던 어머니의 지성.
100.배우 한은진(韓銀珍) 어머니 --- 딸의 성공 뒤엔 어머니의 고뇌가.


제2부 <스승 百選>

1. 재능을 보고 가르쳤던 스승, 우륵(于勒) --- 지금도 빛나는 천 년의 예술혼
2. 대중 교화 역설했던 스승, 빙월당(氷月堂) 설총(薛聰) --- 신라의 선각자
3. 나라의 어른으로서 청년들을 가르쳤던 스승, 원광(圓光) --- 다섯 가지만 잘 지켜도 될 것이다
4. 불우한 시대의 스승,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 제자들은 고려의 신하가 되고
5. 소신 발언의 전형을 보여 준 스승, 최승로(崔承老) --- 나라 경영이 경제적이지 못합니다
6. 사립학교 창시자, 학자의 스승, 성재(惺齋) 최충(崔?) --- 서당을 시작하자 구름처럼 모여들다
7. 나라의 지주 역할을 했던 스승, 뇌천(雷川) 김부식(金富軾) --- 문하생들과 함께 지킨 조정
8. 육영재단 설치, 인재양성에 앞장선 스승, 회헌(晦軒) 안향(安珦) --- 재상의 직책은 인재양성에 있다
9. 학문하는 사람의 세상살이 보여 준 스승, 역동(易東) 우탁(禹卓) --- 나가고 물러날 줄 알았던 주역의 대가
10. 뭇 선비들의 스승이자 임금의 스승,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 --- 글을 지으면 곧 버리다
11. 사제지간의 의미 전해 준 스승, 치암(恥菴) 박충좌(朴忠佐) --- 관혼상제 처음 시작
12. 조선의 개국, 정신적 바탕 이루어 준 스승, 목은(牧隱) 이색(李穡) --- 토론의 중심엔 언제나 스승이
13. 충의를 가르친 스승,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 횡설수설이라도 사리에 맞지 않는 것이 없다
14. 대의명분과 용단으로 혁명가가 된 스승,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 --- 정치도 학교의 흥폐에 달려 있다
15. 그림으로 쉽게 사서삼경을 가르쳤던 스승, 양촌(陽村) 권근(權近) --- 혼란한 시대에 어린 시절부터의 인성교육 역설
16. 금오산 기슭 어린이들의 스승, 야은(冶隱) 길재(吉再) --- 길을 묻는 어른과 어린이들에게
17. 개국 이래 가장 뛰어난 스승, 별동(別洞) 윤상(尹祥) --- 관솔 따 밤새 책을 읽더니
18. 두문동에서 나온 고려의 스승, 방촌(?村) 황희(黃喜) --- 가르치는 일로 시작한 관직생활
19. 회초리가 필요 없던 스승, 강호(江湖) 김숙자(金淑滋) --- 여막 옆의 서재
20. 남산 아래 쌍 연못가의 스승, 물재(勿齋) 손순효(孫舜孝) --- 가르친 것은 오로지 청렴과 결백이다
21. 현실 참여, 사림(士林)의 스승, 점필재(?畢齋) 김종직(金宗直) ---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이 미흡하다
22. 독서와 수행으로 가르친 스승, 일두(一?) 정여창(鄭汝昌) --- 왕자를 가르치다 시골로 내려가다
23. 소학동자(小學童子) 자칭한 스승,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 가르치는 것이 나의 소임이다
24. 선비정신으로 초지일관한 스승, 돈후재(敦厚齋) 조원기(趙元紀) --- 선비가 변하면 가르칠 수 없다
25. 과단성 있는 정치가, 어진 스승, 영모당(永慕堂) 안당(安?) --- 중종 시대 개혁의 물꼬
26. 나들이에도 책을 들고 다니던 스승,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 --- 사회 교화는 가능하다
27. 인재양성 방법에 새바람 일으킨 스승,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 --- 배운 것이 확실하지 못하면
28. 청년 교육 역설한 스승,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 부끄러워할 줄 알라
29. 화담 연못가 달팽이집에 사는 스승, 복재(復齋) 서경덕(徐敬德) --- 스승이 없어 공력이 더 들었다
30. 서원 열어 새로운 학풍 일으킨 스승,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 --- 아무나 들어갈 수 없는 학교
31. 자애롭고 자상한 것이 권위였던 스승, 퇴계(退溪) 이황(李滉) --- 허다한 영재들이 속된 학문에 몰두하고 있다
32. 평생 성성자(惺惺子)를 지니고 다닌 스승, 남명(南冥) 조식(曹植) --- 열 줄을 한꺼번에 읽으며
33. 인의예지로 기본을 삼은 스승, 미암(眉庵) 유희춘(柳希春) --- 가르칠 때는 재미있게
34. 신의를 생명처럼 여겼던 스승,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 오로지 소학(小學)이다
35. 과묵을 생명처럼, 실천으로 가르친 스승, 습재(習齋) 권벽(權擘) --- 제자의 이름조차 묻지 않다
36. 어린이 가르치는 것이 낙이었던 스승, 척암(?庵) 김근공(金謹恭) --- 먹지 않고 가르치다
37. 교육으로 각 분야 개혁 시도했던 스승, 율곡(栗谷) 이이(李珥) --- 산하간의 정기(精氣)요, 나의 스승이라
38. 자기 수양의 참뜻 가르친 스승, 귀봉(龜峰) 송익필(宋翼弼) --- 평생의 고난, 수양으로 극복
39. 계룡산 선비들의 스승, 고청(孤靑) 서기(徐起) --- 제자들이 지은 산속의 서재
40. 안일에 빠진 중들을 가르쳐 깨우친 스승, 청허(淸虛) 휴정(休靜) --- 산중에 숨어 산다면 도둑이요, 죄인이다
41. 편협하지 않았던 스승, 유촌(柳村) 황여헌(黃汝獻) --- 끝내 인연으로 맺어 둔 제자
42. 늙어서야 고향으로 돌아온 스승,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 --- 노사부의 세 가지 한
43. 다방면에 정통, 막힘없이 가르쳤던 스승, 한강(寒岡) 정구(鄭逑) --- 백매원(百梅園)에 피어난 사제의 정
44. 선견지명, 옥천의 스승, 중봉(重峰) 조헌(趙憲) --- 율곡을 사모하여 지은 휴율정사(後栗精舍)
45. 삼당시인(三唐詩人), 허씨가(許氏家)의 스승, 손곡(蓀谷) 이달(李達) --- 시 배워 재능 키운 친구의 동생들
46. 예학의 대가, 초야의 스승,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 제자들은 반정의 주역
47. 떠돌면서 가르친 스승,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 마지막 동행자는 제자들
48. 세상의 스승보다 조정의 스승,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 --- 국사(國士)로 대접받던 신하
49. 효성을 보고 제자가 몰려왔던 스승,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 --- 도덕의 근본은 예(禮)
50. 대의명분 뚜렷했던 왕자의 스승,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 청빈, 강직으로 일관한 거인
51. 개방적 사고 지녔던 유학자 스승, 노서(魯西) 윤선거(尹宣擧) --- 수치심 안고, 학불염(學不厭), 교불권(敎不倦)
52. 진취적 기상, 비판의식 강조한 스승,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 --- 실학 뿌리 된 사문난적(斯文亂賊)
53. 스승의 업적 발전시켜 가르친 스승,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 당쟁의 와중에서도 잃지 않은 것
54. 외롭지만 소신으로 가르쳤던 스승,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 --- 지행합일 선택한 이유
55. 스스로 터득하는 공부 가르쳤던 스승,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 고고한 삶 속에 치열한 정신
56. 산림 속에서 가르치던 스승, 여호(黎湖) 박필주(朴弼周) --- 내 무덤 앞엔 비석을 세우지 마라
57. 인의예지로 가르친 스승, 도암(陶庵) 이재(李縡) --- 모든 의식(儀式)의 뿌리
58. 학문의 실용성 강조한 스승, 성호(星湖) 이익(李瀷) --- 저녁에는 즐거운 삼두회(三豆會)
59. 소학(小學) 중시했던 실학자의 스승, 미호(渼湖) 김원행(金元行) --- 평생 대쪽같이 산 사림지사표(士林之師表)
60. 퇴계의 학문으로 가르치고 실천한 스승,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 평생을 대산선생(大山先生)으로
61. 스승을 지키려 했던 스승, 병계(屛溪) 윤봉구(尹鳳九) --- 당쟁 속의 신념
62. 사대(事大)에서 벗어나려 애썼던 스승,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 --- 주자를 알려면 퇴계부터 배워라
63. 천문지리에 관심 많았던 실학자 스승, 담헌(湛軒) 홍대용(洪大容) --- 지동설 이해한 유학자
64. 시종 경세제민에 바탕을 두었던 스승,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 제자들과 함께 초인적 저술
65. 천하 영재들의 스승,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 척사위정(斥邪衛正)의 중심
66. 추사(秋史)를 가르친 스승, 초정(楚亭) 박제가(朴齊家) --- 시대에 눈뜨게 하다
67. 선비정신의 전형 보여 준 스승, 의암(毅庵) 유인석(柳麟錫) --- 의병대장이 된 유학자
68. 국민운동 방법 지도했던 스승, 송재(松齋) 서재필(徐載弼) --- 토론회 통해 계몽운동 시작
69. 천연두 예방의 길 열어 준 지석영의 스승, 박영선(朴永善) --- 제자에게 주려고 가져온 책
70. 개화파를 가르친 관철동 스승, 유대치(劉大致) --- 큰 체구, 홍안의 백의정승
71. 도레미파를 가르쳐 준 최초의 스승, 김인식(金仁湜) --- 학구열 보고 미국행 끝내 포기
72. 실천을 가르쳤던 스승, 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 --- 인필자모이후(人必自侮而後)에 인회지(人悔之)라
73. 사람이 곧 하늘이라고 가르친 스승, 해월(海月) 최시형(崔時亨) --- 경전 완성 후 어육주초 금기 해제
74. 민중과 암흑기 함께한 스승, 월남(月南) 이상재(李商在) --- 개나리가 많이 피었군
75. 개화기 평민 여성들의 스승, 찬양회 회원들 --- 혁구종신(革舊從新) 외치며 여학교 설립
76. 하모니카와 함께 자력갱생 가르친 스승, 한서(翰西) 남궁억(南宮檍) --- 평생 인력거 타지 않고, 늙었어도 젊은 스승
77. 한문 배우다 한글 터득한 스승, 한힌샘 주시경(周時經) --- 서울 시내 누비던 주보따리
78. 욕 잘하던 스승, 하란사(河蘭史) --- 이유 있는 욕설
79. 제자 길러 시대의 한 풀려 했던 스승, 계원(桂園) 노백린(盧伯麟) --- 한국의 나폴레옹, 노팔장군
80. 항상 좋은 본보기로 남으려 했던 스승,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 --- 일찍 통감한 지방적 파쟁
81. 사대문 안에 절 짓고, 뭇 승려의 스승, 백용성(白龍城) --- 언제나 대각(大覺)이 되려나
82. 판소리 중흥의 스승, 동리(桐里) 신재효(申在孝) --- 진채선, 허금파가 터놓은 여류명창의 길
83. 제자 사랑 유별했던 스승, 난파(蘭坡) 홍영후(洪永厚) --- 악기 팔아 ‘독립신문’ 발간
84. 무저항으로 일관한 열정의 스승, 고당(古堂) 조만식(曺晩植) --- 딸이 몰라보자 바뀐 차림새
85. 전통 가락의 맥 이어 준 스승, 금하(琴下) 하규일(河圭一) --- 인연 깊은 기생 제자들
86. 이론, 실기로 정악(正樂) 전수한 스승, 오당(梧堂) 함화진(咸和鎭) --- 최초의 국악교수
87. 모든 어른들의 스승, 소파(小波) 방정환(方定煥) --- 33년 생애가 준 교훈
88. 경전 풀이로 진리 전해 준 스승, 다석(多夕) 유영모(柳永模) --- 세 끼를 모아 저녁 한 끼를 먹다
89. 여성의 생활 교육 강조한 스승, 추계(秋溪) 황신덕(黃信德) --- 궁중요리 능한 제자, 동경으로 유학 보내고
90. 소탈한 선비, 제자에겐 하늘이었던 스승,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 --- 나는 삼복지인(三福之人)
91. 종교가, 교육가, 인격 갖춘 스승, 김교신(金敎臣) --- 평생 낮은 곳에서 헌신했던 평교사
92. 가난한 제자들에게 눈길 떼지 않았던 스승, 정지용(鄭芝溶) --- 마차 타고 추어탕집으로
93. 민주교육 고입, 교사들의 스승, 천원(天園) 오천석(吳天錫) --- 교육 개혁의 초석
94. 여성 직업 교육 개척, 미용계 스승, 오엽주(吳葉舟) --- 따가운 시선 견디며 불모지 개척
95. 어려울수록 진실을 말할 줄 알았던 스승, 함석헌(咸錫憲) --- 씨알의 소리는 민중의 소리
96. 소신을 가지려 했던 법관들의 스승, 김홍섭(金洪燮) --- 생활고는 고민이 아니었다
97. 불의에 항거했던 지식인들의 스승, 동탁(東卓) 조지훈(趙芝薰) --- 무기력한 지성에 심어 준 기백
98. 혼란기 불우한 여성들의 스승, 조명숙(趙明淑) --- 초등학교 교원 사직하고 공민학교 운영
99. 초등교육의 산증인, 육학년 입시생들의 스승,오정화(吳貞華) --- “집안에 틀어박혀 바보가 되었느냐?”
100. 농심(農心)을 떠나 말할 수 없는 스승, 유달영(柳達永) --- “사람은 만나면서 자란다”

작가 정보
저자(글) 반재식
인물 상세 정보

예화포커스시리즈(1~50)

보험계약법

고려전기 한문학의 흐름과 양성

국제금융법

우린 날마다 술집을 찾습니다

영생의 길

우스갯소리에도 철학이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어찌 부모님만 하오리까

지순한 행복

무지 다시 희망을 이야기 한다

파도소리

새벽이 눈 뜰때...

My Little Brother Andrew

시설물유지관리공학

너희가 교육을 아느냐

넓은세상이야기

현명한 투기

지식이 부족하면 지혜라도 가져라

槐堂公遺書解義 괴당공유서해의

유학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

고등학생이야기

아이오차트를 활용한 선물매매전략

신명기와 애비의 잔소리

안녕하세요 김재훈입니다

모자성

삶의 향기

이동통신공학

常用 成?俗??程(성어와 속어로 중국어를 말하자)

영재채스교실

Financial Modeling and Consulting

낙엽새가 아픔을 물어왔습니다

걸었어, 걸어야 했어

구암시선집

2008년 사법연수원 국제통상법학회 지성과 패기

삼역의학

하나님의 기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천국의 사계

나님과 함께하는 삶 - 자네는 성공했네

은혜의 나무

동작원리

파리의 천사1

부산대학교 면접, 구술고사

향의 비밀

에피소드

물위의 빛

화훼디자이너를 위한 색채학

ANSYS의 Full 3D FEM에 의한 사장교 해석

현대목회학

나의 꿈은 스튜어디스

일컬음

오늘의 묵상

직무관리 매뉴얼

예수를 소유하라

사업예산제도와 정부의 성과관리

뱅기 탈 土木쟁이들에게

고객 가치 중심의 비즈니스 혁명

재가복지서비스와 북내외 노인복지시설

오브젝트 파스칼 입문

목회행정

운명이여 불을 켜라

379 농가가 궁금해 하는 농약 이야기 41문 41답

봄날

아버지의 추억(상, 하)

화훼디자인의 이해

사람이야기, 병이야기

선생님, 나랑 숨바꼭질 할래요?

중국, 연변을 다녀와서

가난해도 좋아요

일곱 번째 촛불을 켜고

영웅곡(英雄曲)

행복한 사람

FIC강해설교

토지보상법 길잡이

다시 석공에게

마음이 가는 방

누구나 미술치료가 될 수 있는 미술치료 해석도구

하늘 드리운 나무이야기

전진의 미국대통령 꿈

꽃피는 봄이 좋아

한국어와 중국어의 사동사 대조연구

해바라기 꽃

NEAT Writing 입문

동행의 길섭에서

도로교통사고감정사(도로교통관련법규)

명쾌한 수학

새빛

부동산경매 기초에서 실전투자까지

노트북설계(기본편)

현대사회와 질병

가장 아름다운 아이들Ⅲ-수도사랑의학교 가족들의 살아가는 이야기

경상대학교 개교60주년 기념 자랑스러운 경상인

예배학연구논집

재미있게 풀어보는 영재성 판별도구

상위 초·중학생을 위한 창의력 수학 입문서 - E&I MATH

American Breakfast

어머니의 기도문

건널 수 없는 강

지성과패기

순종의 서정

고교 LEVEL 수준별 수학

정의감의 판결

The Winter Love

어머니와 스승

내 마음의 호수

강의 흐름을 따르립이까

내가 살아온 길

Urban Suburbs

도로교통사고감정사(차량운동학)

안내양 안내군의 우리 문화 이야기

항공기 기체 work book

항공기 기체 text book

내마음의 산들

삶은 자신의 카누를 노 저어 가는 것이다

도로교통사고감정사(교통사고 조사 분석서 작성 및 재현실무)

경기외고생들의 The Guide of Korean Palaces

민주와의 전투

헤드라이트

나는 돈복보다 일복이 좋다

바하올라 선집

리치트랙-부자 바이블1

까칠한 그녀

간이공원

꽃을 피우려 할 때(상)

하늘꿈을 만나다

선택한 축제

복음을 담은 그릇 우리말 보듬기

지고 살아가는 삶

암을 이기는 희망의 이름 차가버섯

소꿉장난으로 하루해가 진다

고령화사회와 노인복지

평화의 해부학

한번에 합격하기 유통관리사 2급

리치트랙-부자 바이블 2

사람, 그리고 사랑

회정인들의 이야기 1

장날

회정인들의 이야기 2

누드드로잉(드로잉과 수필)

바람이고 싶어

그날같은 오늘을 날마다 살고싶다

SAT Vocabulary GAME

소리없는 대화

홍성전통시장 사람들

그 별을 찾는 아이

대연우암 공동체의 꿈

같은 분야의 도서
더보기
고전시가 신해석
여숫말은 개미지다
리더 訓
하나의 수어에 다의어가 포함된 수어국어사전(개정판)
시를 읽으면 세상이 보인다
철학적 착상
청소년 소설 즐겁게 읽기
ne 탓이 아니야
식별력과 책임의 성교육
평생 읽는 논어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7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 공지사항
  • 개인정보취급방침
  • 앱다운로드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 좋은땅㈜ B1 ~ 5F ©G-WORLD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홈

검색

전체

내 정보